[스크랩] `따뜻함의 차이 (한상순 편) (열린 아동문학 ‘이 달의 동시나무’) 담당: 배익천 님 2009. 11. 25. 수 - 한상순 편 - 따뜻함의 차이 이 상 교 1. 들어가며 그녀, 한상순이 나와 그처럼 지척지간인 경희대 병원을 일터로 지내고 있는 줄은 미리 알지 못했다. 알았다고 해도 별 뾰족한 수 없었겠지만 말이다. 누구라도 병원을 좋아할 리 없.. 초대밭(펌)/시의늪 2010.05.30
[스크랩] `참새의 한자 공부` (‘고래가 숨쉬는 도서관’ 동시서평) 2009. 11. 16. 월 - 박방희 ‘참새의 한자 공부’(푸른책들)을 중심으로 - 생각이라는 씨앗 이 상 교 시가 어린이들에게 좀더 가깝게 다가갈 방법은 없는 걸까. 오래 전부터 궁리해 온 일이기도 하고 앞으로도 계속하여 추구해 나갈 일이다. 대개의 어린이들이 시를 외.. 초대밭(펌)/시의늪 2010.05.30
[스크랩] 잘 틀리기 쉬운 우리말.2 값을 치루었다(x)→ 값을 치렀다 거칠은(x)→ 거친 곰곰히(x)→ 곰곰이 껍질채 먹었다(x)→ 껍질째 먹었다 끔찍히(x)→ 끔찍이 가던지 오던지(x)→ 가든지 오든지 구비구비(x)→ 굽이굽이 금새 동나다(x)→ 금세 동나다 객적다(x)→ 객쩍다 까탈스럽게(x)→ 까탈지게 꼭둑각시(x)→ 꼭두각시 하는구료(x)→ 하.. 초대밭(펌)/시의늪 2010.05.24
[스크랩] 나의 동시 창작 과정/문삼석 굴리고 자르고 깁고 다듬고 ―동시의 리듬을 중시한다 문 삼 석 1. 몇 가지 전제들 어떤 글이든 그 글에는 쓰는 목적을 갖게 마련이다. 비뚤어진 세상을 바로잡는다거나 도탄에 빠진 인류를 구제해 보겠다는 원대한 목적으로부터 그저 무료함이나 달래보려는 심심풀이 글쓰기에 이르기까지 그 폭과 깊.. 초대밭(펌)/시의늪 2010.05.24
[스크랩] 동시 창작법.2/신현득 동시 창작법 ② 동시(童詩) 산책(散策) 신 현 득 학교 종이 땡땡 친다. 어서 가 보자. 선생님이 우리를 기다리신다. 이 <학교종> 노래의 「땡땡 친다」는 어법에 맞지 않다 해서 지금은 「땡땡땡」으로 고쳐 부르고 있다. 첫 행에서 「땡땡」을 빼버리면 「학교 종이 친다」가 된다. 「종이 친다」는.. 초대밭(펌)/시의늪 2010.05.24
[스크랩] 동시 창작법.1/신현득 동시 창작법 ① 동시(童詩) 산책(散策) 신 현 득 동시가 어떻다는 말을 하기 전에 나는 나의 이야기를 좀 해야겠다. 나는 사범학교 출신이지만 그 때 어느 곳에서나 다 그랬듯이 아동문학이란 말은 조금도 들어보지 못하고 졸업했다. 간혹 동화란 말은 들었지만 동시란 말은 전혀 듣지 못했던 것이다. .. 초대밭(펌)/시의늪 2010.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