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들밭/인성자료

주의집중을 위한 학급운영 방법

길길어멈 2010. 3. 18. 02:23

선생님. 데이지입니다. 음. 전 학급분위기를 무지 중요하게 여기는데요. 그래서 패턴을 계획적으로 합니다.

제가 했던 학급운영시 주의집중면 부분을 나열해서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본마음다지기: 종이에 큰 글자와 그림 모양으로 우리반 학급규칙이라 하여 1학기에는 5가지를 세워 나눠준후 큰 소리를 읽고 어떻게 해야하는 지 방법을 설명(5가지의 상황을 그림으로 그려 이야기식 동화구연으로 설명함-효과좋습니다. *^^*설명시 인내를 가지고 하셔야 하는거 아시죠?)


  - 아침등교시-수업중-말하기.듣기-쉬는시간으로 시간별 패턴을 고정화 시켜 습관, 훈련을 하였습니다.

패턴을 철저히 같게 지키는게 중요하거든요.


2. 실천방법세우기: 패턴을 세운 뒤 전 철저하게 저도 그 패턴을 실천합니다.

  1) 순서를 바꾸지 않는다.

  2) 패턴에 맞게 말을 하도록 한다. (아이들중 순서를 바꿔서 말을 미리한다거나 필요없는 말등 할때가 있습니다. 이때는 전 아무말을 하지 않습니다.

          -물론 학급규칙중 말하기부분에 미리 해당하는 부분으로 아이의 말을 무시한다고 생각지 않습니다.

이것을 교사가 지키지 않으며 말에 대한 질서와 규칙이 깨지므로 그 유혹에 넘어가지 않아야 합니다.

이 훈련이 되면 선생님의 말에 즉각 집중하여 잘 듣게 되어있습니다.)


  3) 수업중 패턴도 세웁니다. 전 수업지도안을 매일 써서 했는데요. 이 패턴이 아이들에게 인지가 되어야 하므로 수업흐름의 방법을 같게 반복적으로 하다 보면 아이들이 익숙해집니다. 수업패턴을 설명하기에는 1학년들에게는 힘들더라고요. 그래서 전 종이치면 제가 교탁앞 벨을 치면- 섬김이(반장) -"수업준비 다 되었습니다.-"라고 말을 하면 아이들은 저를 보게됩니다. 물론 이과정에서 생기는 2가지 오류가 나지요.

         (1. 수업준비를 제시간에 하지 않는아이들 2. 그날 반장이 누구냐에 따라 수업시작에 어려움)

  이 두가지는 교사가 잘 지키면 되는데요. 수업준비가 되지 않으면 '“선생님은 수업하지 않아요“라고 학급운영시 규칙을 세웠기에 처음은 잘 안되어도 교사가 이럴 경우 똑같이 행동해야 하는 패턴을 보여주면 금방 자리를 잡게 되어있습니다. 그래도 끝가지 산만한 아이들이 있을 경우- 2번은 말로 주의(엘로우카드2장)- 3번째는(레드카드)-뒤에 서 있게 합니다.-4번째는 생각하기 의자-5번째는 가정통신문(부모훈육)으로 합니다.-반복해서 걸려 훈육을 받더라도 반드시 매번 피드백을 합니다.(10m 눈을 바라보며 앉은상태에서 훈육한 후 개인별 과제를 내줍니다.-이 과제로 전 글쓰기를 많이 활용했습니다. 이런 아이들이 생길경우 구조표를 만들어 상황별 주제를 적어주고 스스로 써 온 후 다음날 제 앞에서 읽게 합니다. 대부분아이들은 한번에서 잘 받아들이고 감사하게 돌아가 반복적 행위가 나오질 않는데 유독 심한 아이들은 4번째까지 받게 되면 공개적으로 아이들에게 학급회의를 통해 규칙을 어긴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책임을 지게 합니다. - 개인적으로 불러 훈육피드백을 합니다. 이때는 15m에서 서서 훈육합니다. 가정통신문을 전달하고 부모가 훈육한 뒤 몇일을 지켜보고 다시 불러 글을 읽게 한 후 10m에서 손을 잡고 다시 잘 하기로 손을 잡고 약속을 한 뒤 꼭 안아주고 기도후 돌려보냅니다. 그럼 이 아이의 습관이 바뀌고 잘 따라오게 되어있습니다.


         4) 수업중 규칙을 남발하는 건 좋지 않기에 수업이 잘 진행되어가다 산만해지는 경우라던지 한 아이가 영 딴 짓을 할 경우에는 간단한 게임을 합니다. 딴짓하는 아이의이름을 불러주며 \"바다야 뭐하니?\"라고 제가 수업하다 이름을 부르면 아이들이 다함께 선창합니다. \"바다야 뭐하니\"하면서 바다가 앉아 있는 쪽을 바라봅니다. - 이때 연습을 미리 하셔야 하는거 아시지요? 처음에는 아이들이 작은훈육임에도 경각심을 느끼지 못하고 재미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 시간수업중 이름이 3번이상 불려지면 엘로우카드1개가 나가게 됩니다. 친구의 이름을 다 함께 부를때 딴 생각을 하고 있던 아이들도 순간 다른친구를 보며 놀라 집중하게 되어있습니다. 이름을 부르고 나서 선생님은 다시 수업을 아무렇지도 않게 진행을 하셔야 합니다. 수업이 끊어지면 안되고 이 경우를 흐릿하게 딴짓하였던 아이에게 지나치게 가게되면 별 효과가 없습니다.


  3. 정리하기: 선생님. 더 자세하고 많이 있는데요. 글을 읽어보시고 공감이 가시면 말씀을 해주세요. 그럼 더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무리 많은 아이디어와 프로그램이 있어도. 각자 교사에게 잘 맞지 않는 것이면 교실안에서 아이들과 소통과 교감하기가 어렵습니다. 즉 코드가 맞지를 않으면요. 맞지 않는것을 하면 오히려 선생님교실은 더 정신이 없어지고 아이들도 교사도 힘들게 되어있는거 아시지요? ^^


         4. 전 규칙을 철저하게 세우고 실천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깁니다. 이과정에서 교사가 더 모범적으로 실천해야 하는 모습이 보여줘야 하겠지요. 아이들이 선생님을 신뢰하면 그 교실안에는 놀라운 일들이 많아지는 것을 경험하였거든요.


  5. 학급운영을 철저히 지키고 훈련하는 과정에서 성품을 중심으로 개인별 아동에게 인격적인 대우와 존중하면 더 규칙들이 의도에서 더 성장하게 되어집니다. 반 전체 1학년아이들의 변하는 모습도 보였구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