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상담실 운영의 이론과 실제
서울아현초등학교 교사 오인수
(ohfaith@hanmail.net)
1. 학교상담의 개념
우리 나라에 상담이 도입되고 학교교육과 상담이 접목되는 과정에서 아직 ‘학교상담’의 개념적 정의가 확실하게 규정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학교상담의 다양한 개념을 종합해보면 학교상담은 학생에게 학교생활의 적응을 돕기 위하여 학업, 사회성, 진로 및 정체성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상담(counseling), 자문(consulting) 및 조정(coordination)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담
counseling
자문 조정
consulting coordination
학교상담의 3요소
������ 상담(counseling)은 학교상담의 한 부분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상담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교사와 학부모에 대한 자문(consulting)과 조정(coordination)이 반드시 필요하다.
2. 학교상담의 특성
학교상담 |
일반상담 |
․모든 학생이 대상이 된다. |
․문제행동(심리)이 있는 학생이 대상이 된다. |
․예방과 조기발견을 중요시 한다 |
․치료를 목적으로 한다. |
․발달적 관점에서 학생을 바라본다. (developmental model) |
․치료적 관점에서 학생을 바라본다. (medical model) |
․학생생활의 모든 영역에 걸친 서비스다. |
․학생의 문제 영역에 초점을 두는 서비스다. |
․교사의 적극적인 원조 및 협력이 필수다. |
․교사의 원조와 협력이 적다. |
3. 학교상담의 문제점과 극복방안
1) “상담할 시간이 없어요!”
① 아침에 (집단)상담 하기
② 재량활동 시간 이용하기
③ 특별활동 시간 이용하기
④ 주당 수업시수 줄이기 (저학년, 교과)
2) “상담할 사람이 없어요!”
① 교내 상담자원봉사자 모집하기
② 교육청에 상담자원봉사자 신청하기
③ 상담기관에 상담자 협조하기
④ 교사 상담교사 협조받기
⑤ 또래상담자 이용하기
3) “상담할 장소가 없어요!”
① 일반교실 활용하기
② 상담교실 만들기
③ 상담방법을 다양화하기
㉮ 편지를 통한 상담하기
㉯ 인터넷 채팅을 통한 상담하기
㉰ 녹음 테잎을 통한 상담하기
4) “애들이 상담하러 안와요!”
① 적극적인 홍보활동하기
㉮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활용하기
㉯ 안내책자 혹은 팜플렛 배부하기
㉰ 상담게시판 활용하기
㉱ 상담소개 비디오 보여주기
② 상담신청을 다양화하기
㉮ 상담신청서와 상담신청함 만들기
㉯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사이버 상담실
③ 상담행사 벌이기
5) “학교장이 협조를 안해요!”
① 상담효과를 가시적으로 보이기
② 다양한 상담활동 전개하기
③ 조금씩 요구하기
������ 이제 상담실에 앉아서 고민이 있는 학생을 기다리는 상담은 되지 않는다. 학생을 직접 찾아 나서야 하고 학생들이 원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여러 사람의 도움을 통해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전개해가야 한다.
4. 초등학교 상담활동에 대한 아동과 교사의 인식
(아래의 통계수치는 1998년 서부교육청 관내 50개 초등학교 5,6학년 남,녀학생 813(남403,여410)을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임)
① 상담실의 필요성
아동의 79.3%의 아동이 상담실이 있어야 한다고 응답
② 상담효과
상담을 받은 아동의 75.9%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
③ 상담 받은 문제
학업문제(24.5%)>성격문제(22%)>따돌림문제(13.1%)>가정문제(12.8%)>이성문제(7.2%)
④ 재상담 의향
설문에 응한 초등학교 아동의 71.6%가 재상담을 요구함.
⑤ 상담교사의 필요성
아동의 75.3%의 아동이 상담교사가 필요하다고 응답
교사의 85.2%의 교사가 상담교사가 필요하다고 응답
⑥ 상담장소
대부분 교실(94.2%)에서 상담을 하며 상담실의 경우는 오직 4.5%
⑦ 상담교사의 자격
전문적인 자격을 갖춘 사람이 상담을 해야한다(47.5%)와 교사는 누구나
상담교사가 될 수 있다(41.2%)는 응답으로 양분됨.
⑧ 상담활동에 대한 관심도
교사의 91.4%의 교사가 학교상담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
5. 학교상담 프로그램 예시
1) 전입학생의 학교적응 프로그램
① 목적
전입생들의 전학 과정에서 생기는 환경의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아동의 적응기간을 최소화하고 환경변화에 보다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②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
1:1 개인상담 및 소집단 집단상담으로 이뤄지며 개인상담에서는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한 아동의 적응상태를 확인하고 심리적인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며 아동의 장점을 탐색하여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내적 동기를 부여한다. 동시에 새 학교에 관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교에 적응하는데 비슷한 문제를 지니고 있는 전입생들과 함께 소집단을 이뤄 집단 안에서 서로 자신의 고민과 문제점을 털어놓고 얘기하는 가운데 적응의 어려움을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로부터 심리적인 위로를 얻고 상대방의 적응모습을 통해 동기부여를 받게 되며 다른 구성원의 적응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력을 신장하게 된다.
③ 상담의 과정
㉮ 아동에 관한 기초정보 확인의 과정
․생활기록부와 가정환경조사서로 미리 숙지하기
㉯ 아동과의 Rapport 형성의 과정
․간단한 놀이나 퍼즐 혹은 다과로 친밀감 형성하기
㉰ 현재의 학교 생활에 대한 탐색의 과정
․열린질문(open question)과 반영(reflection) 및 적극적 경청
(active listening) 기술을 활용하기
㉱ 학교생활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과정
․현재의 고민과 적응상의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기
㉲ 문제점 해결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
․명료화(clarification) 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 모색하기
㉳ 해결방법에 동기를 부여하는 과정
․토큰강화나 일지쓰기와 같은 행동치료 기법 활용하기
㉴ 학교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과정
․학교소개 팜플렛 주기
․교가 테잎 대여해 주기
․학교여행 시켜주기
2)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한 심성계발 프로그램
① 목적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심성과 가능성을 집단 안에서 활동과 대화를 통해서 발견하고 계발하여 좀더 자신감을 갖고 적극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아이들은 활동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자신을 드러내고 친구와 자신의 차이를 통해 상대방을 수용하는 과정을 겪게되며 집단역동(Group dynamics)을 통하여 각 활동의 회기가 목표로 하는 자기발견, 협동심, 창의성 및 의사소통기술을 배울 수 있다.
② 구성
프로그램은 모두 5회기로 구성되며 각 회기는 집단상담의 단계별 역동관계를 고려하여 친밀감을 높이는 활동으로 시작하여 활동의 수준 및 깊이를 점차 심화하고 마지막으로 갈수록 의미를 부여하는 활동을 강화함으로써 집단상담의 효과를 높이고자 했다. 또한 집단의 크기를 10명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구성원의 참여기회를 높이고 초등학교 수준에서 가장 효과적인 집단역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③ 개요
회기 |
주제 |
활동 |
역동단계 |
1 |
․친밀감 형성하기 ․자기 발견하기 |
․우리들의 섬 ․별칭짓기 |
도입단계 (Initial stage) |
2 |
․창의력 계발하기 ․협동심 계발하기 |
․동기선으로 창작화 그리기 ․릴레이 연상화 그리기 (협동화) |
전이단계 (Transitional stage) |
3 |
․소속감과 집단의식 체험하기 ․협동심과 성취감 체험하기 |
․원안에 뛰어들기 ․서로(동시에) 일으켜 주기 |
활동단계 (Working stage) |
4 |
․타인의 의견 존중하기 ․의사소통의 중요성 인식하기 |
․말 전하기 ․장님 안내하기 | |
5 |
․상대방 수용하기 ․집단경험 내면화하기 |
․피돌리기(Rolling paper) ․과자파티 |
정리단계 (Final stage) |
④ 적용
학년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1개반을 4개의 소집단으로 편성하여 한 반에 4명의 상담자가 동시에 심성수련을 하게 됨. 각 집단별 장소와 상담자는 다음과 같다.
집단 |
장소 |
상담자 |
집단크기 (명) |
1 |
따뜻한 이야기 방 |
조수현 |
9~10 |
2 |
열린 자료실 (2층) |
이은경 |
9~10 |
3 |
열린 자료실 (3층) |
문은주 |
9~10 |
4 |
해당반 교실 |
김형숙 |
9~10 |
한 반은 일주일에 1회 심성수련을 받게 되며 총 5회를 실시하게 됨.
3) 주의산만하고 충동적인 아이들(ADHD)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① 목적
ADHD 아동들은 충동적인 기질로 인해 친구들과의 사귐과 만남에서 쉽게 흥분하거나 규칙을 지키지 못해 친구들로부터 무시당하거나 따돌림 당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ADHD아동들이 효과적으로 자신의 충동성을 조절하여 친구를 사귈 수 있는 사회기술을 훈련시키고자 한다.
② 구성
전체 훈련 프로그램은 ‘친구를 찾기, 친구를 만들기, 친구와의 싸움을 피하기’의 크게 3단계로 구성되어 각 단계들마다 목표에 적합한 사회적 기술들을 훈련시킨다. 각 단계들에서 강조되는 사회적 기술들을 간단히 설명하면, 우선 ‘친구를 찾기’ 단계에서는 친구를 사귀기 좋은/나쁜 때를 구분하는 기술, 친구들의 놀이에 참여하는 기술, 거절에 대처하는 기술 등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친구 찾기에 성공하고 나면 ‘친구를 만들기’ 단계로 이행하며 친구와의 대화 기술, 친구를 놀이에 초대하는 기술, 친구와의 예절, 친구와 놀이 활동을 계획하는 기술, 공정하고 재미있게 놀이하는 기술 등을 통해서 친구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마지막으로, ‘친구와의 싸움을 피하기’ 단계에서는 사소한 갈등을 해결하는 기술, 싸움을 피하는 기술, 놀림에 대처하는 기술 등을 훈련한다.
③ 개요
회 기 |
훈 련 내 용 |
1 회기
|
소개하기 & 어울리기: 집단이 이루고자 하는 목표와 앞으로의 활동집단 규칙에 대한 이해, 집단 구성원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며 또래들의 놀이에 참여하여 어울리는 기술을 간략하게 다룬다. |
2 회기
|
좋은 놀이친구 되기: 또래들과의 긍정적인 놀이 경험을 위하여 필요한 놀이 기술을 훈련하고 아동들이 놀이의 결과보다는 과정을 더 즐기고 다른 아동들의 호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
3 회기 |
대화하기: 친구들과 나누는 대화의 중요성 및 대화하는 기술의 필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또한 경청하는 기술과 언어적, 비언어적 기술들을 훈련한다. |
4 회기 |
받아들이기: 또래 관계나 가족 관계, 혹은 자신의 수행과 관련하여 일어나는 좌절 상황에서 적절한 대처방안을 스스로 모색하고 자기를 통제할 수 있는 기술을 훈련하며 부적절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자제하도록 하는 내용을 주로 다룬다. |
5 회기 |
자기 주장하기: 다양한 문제와 갈등이 유발되는 상황에서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기술을 훈련한다. 자기 주장 행동이 대인관계에서 어떠한 이점이 있는지 경험한다. |
6 회기 |
갈등 다루기: 교실에서 또래들의 놀림이나 괴롭힘의 표적이 되지 않도록 적절하게 대응하는 기술을 훈련하며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훈련한다. |
7 회기 |
문제 해결하기: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구조화된 단계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훈련하며 이 단계들을 자기언어로 내면화하여 상황에 잘 적용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
8 회기 |
감정 다루기: 대인관계에서 자기 자신의 감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표현하는 것과 타인의 감정상태를 인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훈련한다. |
<참고> 사회기술카드
☺ 친구들과 어울리는 방법 1. 아이들을 가까이에서 지켜본다. 2. 아이들을 칭찬해준다. 3. 놀이가 잠깐 멈춰질 때까지 기다린다. 4. 같이 놀아도 되는지 물어본다. 5. 끼워주지 않으면 그냥 다른 데로 간다. |
☺ 좋은 놀이친구 되는 방법 1. 절대 까불지 않는다. 2. 규칙은 반드시 지킨다. 3. 자기 차례가 아니면 나서지 않는다. 4. 말싸움은 하지 않는다. 5. 다른 아이들을 칭찬한다. |
☺ 결과를 기분 좋게 받아들이는 방법 1. 흥분하지 말고 침착하게 행동한다. 2. 규칙과 지시를 따른다. 3. 편안한 얼굴표정을 짓는다. 4. 공손하게 이야기한다. 5. 하던 놀이를 계속한다. |
☺ 친구와 이야기하는 방법 1. 말하는 아이의 눈을 쳐다본다. 2. 열심히 듣는다. 3. 이야기 중간에 끼어 들지 않는다. 4. 질문을 한다. 5. 상관없는 말을 하지 않는다. |
☺ 친구들이 괴롭힐 때에는...... 1. 친구가 놀릴 때 대꾸하지 않는다. 2. 친구가 놀릴 때 모르는 척 한다. 3. 편안한 자세로 있는다. 4. 편안한 얼굴표정을 짓는다. 5. 침착하게 하고 있던 일을 계속 한다. |
☺ 나의 생각을 이야기하는 방법 1. 마음속으로 ‘다섯’을 센다. 2. 상대방의 눈을 쳐다보고 이야기한다. 3. 짜증을 내지 않는다. 4. 또박또박 이야기한다. 5. 편안한 얼굴표정을 한다. |
☺ 문제를 해결하는 단계 1.잠깐만! 2. 무슨 일이 일어났지? 3. 나는 어떻게 해야할까? 4. 그래, 그렇게 해보자. 5. 다른 방법으로 해보자. |
☺ 기분이 너무 나쁠 때...... 1. 마음속으로 ‘다섯’을 센다. 2. ‘난 괜찮아’라고 이야기한다. 3. 왜 이런 기분이 드는지 생각한다. 4. 기분 좋은 일을 상상한다. 5.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한다. |
4) 자신감 형성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① 목적
이 프로그램은 학급과 같은 집단상황에서 소극적이여서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지 못하고 부끄러움을 많이 타서 자신감 있게 발표하지 못하는 아동들이 자신감을 쌓기 위한 사회기술 훈련이다.
② 구성
모두 6회기로 구성되며 신뢰감을 회복하고 형성하는 활동으로부터 시작하여 부끄러움을 극복하는 과제로 이어지고 이어서 자신감을 형성하여 마지막으로 자신감을 표현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기를 시작하기 전에 ‘부끄럼 척도 질문지’를 사용하여 상담 전 아동이 느끼는 자신의 부끄럼과 상담후에 느끼는 자신의 부끄럼 정도를 비교해 봄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해 볼 수 있다.
③ 개요
회기 |
주제 |
활동 |
역동단계 |
1 |
․집단 소개 및 규준 정하기 ․애칭 정하기 및 팀웍형성하기 |
․짝과 인터뷰하기 ․애칭외우기 게임 및 우리들의 섬 |
도입단계 (Initial stage) |
2 |
․신뢰감 회복하기 ․신뢰감 형성하기 |
․장님 안내하기 ․천국여행 |
전이단계 (Transitional stage) |
3 |
․용기있게 도전하기 ․부끄럼 극복하기 |
․뒤로 넘어지기 ․밀가루 묻히고 과제하기 |
활동단계 (Working stage) |
4 |
․부끄럼 극복하기 ․자신감 형성하기 |
․곰과 나뭇꾼 ․얼굴분장하고 과제하기 | |
5 |
․자신감 표현하기 |
․자신감 교실 ․날 따라하세요 | |
6 |
․자신감 내면화하기 ․자신감 동기 강화하기 |
․신기한 문방구 ․상대방 장점 써주기 |
정리단계 (Final stage) |
5) 성격유형을 통한 자아발견 및 효과적인 대화기술 프로그램
① 목적
이 프로그램은 학부형들과 교사들이 자신의 성격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깊은 이해를 통해 자아성장을 돕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과 타인에 대한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제작된 프로그램이다. 또한 자녀의 성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자녀와의 효과적인 대화기술을 개발하고 적절한 지도방법 및 양육기술을 모색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② 구성
㉮ MBTI 오리엔테이션 (선호경향에 대한 이해)
외향성 (Extraversion) |
내향성 (Introversion) |
자기 외부에 주의집중 |
자기내부에 주의집중 |
외부활동과 적극성 |
내부활동과 집중력 |
정열적, 활동적 |
조용하고 신중 |
말로 표현 |
글로 표현 |
경험한 다음에 이해 |
이해한 다음에 경험 |
쉽게 알려짐 |
서서히 알려짐 |
감각형 (Sensing) |
직관형 (iNtuition) |
지금, 현재에 촛점 |
미래 가능성에 촛점 |
실제의 경험 |
아이디어 |
정확, 철저한 일처리 |
신속비약적인 일처리 |
사실적 사건묘사 |
비유적, 암시적 묘사 |
나무를 보려는 경향 |
숲을 보려는 경향 |
가꾸로 추수함 |
씨뿌림 |
사고형 (Thinking) |
감각형 (Feeling) |
진실, 사실에 주관심 |
사람, 관계에 주관심 |
원리와 원칙 |
의미와 영향 |
논리적, 분석적 |
상황적, 포괄적 |
맞다, 틀리다 |
좋다, 나쁘다 |
규범, 기준중시 |
나에게 주는 의미 중시 |
지적 논평 |
우호적 협조 |
판단형 (Judging) |
인식형 (Perceiving) |
정리정돈과 계획 |
상황에 맞추는 개방성 |
의지적 추진 |
이해로 수용 |
신속한 결론 |
유유자적한 과정 |
통제와 조정 |
융통과 적응 |
분명한 목적의식과 방향감각 |
목적과 방향은 변화할 수 있다는 개방성 |
뚜렷한 기준과 자기의사 |
재량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포용성 |
㉯ MBTI 검사 및 채점
㉰ 같은 성격 유형과의 Group Work
㉱ 반대유형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기술훈련
㉲ 일방적 태도를 적응적 태도로 바꾸는 훈련
|
적응적 태도 |
일방적 태도 |
외향(E) |
․사교적이다 ․정열적이다 ․매력적이다 |
․허풍이 심하다 ․침범이 심하다 ․목소리가 크다 |
내향(I) |
․깊이있다 ․사려깊다 ․평온하다 |
․서먹서먹하다 ․억제가 심하다 ․회피적이다 |
감각(S) |
․실용적이다 ․정확하다 ․세부적이다 |
․단조롭다 ․너무 까다롭다 ․강박적이다 |
직관(N) |
․상상적이다 ․재간이 있다 ․통찰력이 있다 |
․기행적이다 ․엉뚱하고 별나다 ․비현실적이다 |
사고(T) |
․명백하다 ․객관적이다 ․명료하다 |
․논쟁적이다 ․완고하다 ․거칠다 |
감정(F) |
․감사할 줄 안다 ․이해심이 많다 ․기지가 있다 |
․모호하다 ․과민하다 ․애매하다 |
판단(J) |
․효율적이다 ․계획적이다 ․책임감있다 |
․강압적이다 ․조급하다 ․경직되다 |
인식(P) |
․적응적이다 ․느긋하다 ․유연하다 |
․질질끈다 ․일관성이 부족하다 ․산만하다 |
<16가지 성격 유형 도표>
6) 품성계발 (멋진우리)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청소년이 지향해야할 대표적인 덕목들 중 ‘정직’, ‘배려’, ‘자기통제’에 중점을 두고 이러한 덕목들을 인지, 정서, 행동 3가지 영역에서 균형있게 익힐 수 있도록 구성하여, 덕목 실천의 실천동기와 의지를 키우고 생활속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 행동방법을 프로그램화 한 것이다.
회기 |
내용 |
목표 |
해당덕목 |
1 만남의 장 |
자기소개 게임한마당 1 신기한 문방구 우리의 다짐 |
․멋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진실한 마음, 더불어 사는 마음, 자신을 다스리는 마음과 같은 마음이 기본이 되어야 함을 깨닫는다. ․앞으로 함께 할 집단상담이 이러한 마음을 키워 가는 과정임을 안다. |
정직 배려 자기통제 |
2 진실의 장 |
게임 한마당 2 훌훌 터는 기쁨 타임머신 휙~ |
․부정직한 행동에 관한 경험을 나누는 과정을 통해 그런 행동에 따른 불편한 감정과 결과를 깨닫고, 정직한 행동을 실행하는 기쁨을 깨닫는다. |
정직 |
3 화목의 장 |
게임 한마당 4 더불어 사는 마음 |
․집단 따돌림(친구문제)에 대한 역할극을 통해 어려움에 처한 사람의 입장을 현실감 있게 느껴보고, 배려 행동에 대한 동기를 형성한다. |
배려 |
4 지혜의 장 |
게임 한마당 4,5 지혜로운 생각 지혜로운 묵찌빠 게임 |
․생각 유형에 따른 행동, 감정 및 그 결과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가치지향적 생각의 필요성을 깨듣는다. ․선택과 결정에 영향을 주는 자기지향적 생각, 외부지향적 생각, 가치지향적 생각 유형을 변별하고, ‘가치지향적’생각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갖게 한다. |
정직 배려 |
5 조절의 장 |
게임 한마당 6 자신을 다스리는 마음 걸림돌과의 승부 걸림돌 다루기 |
․진실한 마음, 더불어 사는 마음을 실천할 때 방해가 되는 내적 걸림돌, 외적 걸림돌이 무엇인지 안다. ․걸림돌과의 가상적 만남을 통해 걸림돌을 극복하고자 하는 동기가 높아진다. ․사례를 통해 걸림돌을 극복하는 방법을 배운다. |
자기통제 |
6 결실의 장 |
인생의 갈림길 게임 한마당 4 마무리 |
․걸림돌을 극복하거나, 극복하지 못한 결과를 함께 경험하여 걸림돌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굳힌다.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요약하고 집단원들이 서로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고 받는다. |
정직 배려 자기통제 |
7) 학습습관 형성 및 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학습상담 프로그램
① 목적
많은 아동들이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모른 채 학습을 비효율적으로 하고 있으며 그릇된 학습습관으로 인하여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현실에 문제점을 착안하여 아동들에게 효과적인 학습습관을 형성하고 학습전략을 습득케하여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② 구성
모두 8주에 걸치 8회기 프로그램으로 이뤄지며 실제적인 학습에 관련된 실습을 병행하여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실제로 실행해보며 학습습관을 바꾸도록 계획되었다.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학습습관을 바꾸며 구체적인 학습전략인 시간관리, 읽기기술, 집중력 및 기억력, 그리고 시험기술 및 교실에서의 학습기술을 배우고 익히도록 고안되었다. 특히 6학년 아동의 경우 중학교로 진학하면 학습의 양이 많아지고 보다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은 중학교에서의 적응을 보다 쉽게 하도록 도와준다.
③ 개요
회기 |
훈련내용 |
1 |
․소개하기 및 어울리기 (Ice-breaking) ․학습습관 점검하기 (학습습관 점검 목록표 및 점검목록 분석지) |
2 |
․학습에 대해 학습하기 ․동기 부여하기 (학업성취동기 점검 목록표) ․스트레스 극복하기 (스트레스 점검표) |
3 |
․시간관리하기 (Time-management) (시간활용 평가표) ․목표 및 우선순위 정하기 (나의 하루 시간 계획표) |
4 |
․읽기기술 익히기 (SQ3R→CQ3RM) ․어려운 자료 읽기 및 빠르게 정리하기 ․장문 이해하기와 밑줄 긋기 |
5 |
․집중력 향상하기 (학습 집중력 점검 목록표) ․기억력 향상시키기 (다양한 기억법 활용포함) |
6 |
․시험관리 능력 향상하기 (시험분석표 작성하기) ․시험불안 요소 줄이기 |
7 |
․교실에서의 학습기술 익히기 (수업 태도 및 준비 점검표) ․선생님에게 영향주기 |
8 |
․수지맞는 학습기술 ․학습기술 정리 및 동기부여 ․정리(Wrap-up) 활동 |
8) 인터넷사이트를 이용한 사이버 상담
① ‘따뜻한 이야기 방’ Site map
이야기방 소개 |
상담실 안내 |
상담관련소식 |
일간지와 잡지 및 각종 인터넷 사이트에서 퍼온 상담관련 소식 |
공개상담실 |
다양한 고민거리와 해결방법 |
비공개상담실 |
이메일을 통한 비공개 상담 |
자료실 |
초등학교상담 관련 공개자료 |
상담관련사이트 |
초등학교 상담관련 상담기관 링크 |
어린이사이트 |
어린이들에게 유익한 문화부 추천 사이트 |
초등상담연구회 |
초등상담 스터디 연구모임 (카페형식) |
상담선생님소개 |
상담선생님 및 상담자원봉사자 소개 |
방명록 |
방명록 |
대화방 |
채팅을 통한 실시간 인터넷 상담 |
② 상담 관련 추천 인터넷 사이트
㉮ 한국청소년상담원 (www.kyci.or.kr) : 상담관련 종합 정보 및 자료
㉯ 서울시청소년종합상담실 (www.teen1318.or.kr) : 〃
㉰ 스쿨클리닉 (school.healthkorea.net) : 소아정신과적 자문
9) 심리검사 (사례를 중심으로)
① KEDI-WISC
언어성 검사 |
상식 : 학생의 선천적 능력, 초기 환경조건, 문화적 경험 등 공통성: 언어적 개념형성, 추상적 사고능력 산수 : 사고력, 수리능력, 주의집중력 어휘 : 언어능력, 학습능력, 문화적 경험, 기억력 이해 : 경험, 대인관계, 문제해결력,관습 등 |
동작성 검사 |
빠진곳찾기 : 집중력,사고력, 시각적 예민성 등 차례맞추기 : 전체상황을 이해하고 구성하는 능력 토막짜기 : 시각-운동 협응력, 공간시각 능력 모양맞추기 : 시각-운동협응력, 지각력,구성능력 기호쓰기 : 작업의 민첩성,단기기억력, |
㉮ 지능이 낮은 아동 (사례1)
언어점수 : 상식 7 / 공통성 6 / 산수 6 / 어희 6 / 이해 6
동작점수 : 빠진곳 10 / 차례 8 / 토막 6 / 모양 7 / 기호 6
언어지능 76 / 동작지능 81 / 전체지능 76
․지능검사 결과해석
먼저 언어능력은 76이고 동작영역은 81인데 점수차이가 10점이 넘지 못하므로 두 능력간에 차이가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두 영역별 내의 소검사의 점수도 중요하므로 소검사 점수를 잘 보십시오. 전체지능이 76으로 나왔는데 이는 일반아동과 정신지체 아동의 경계선 지능지수에 해당하는 점수입니다.
․언어성 지능
공통,산수,어휘,이해는 6점으로 능력이 낮습니다. 따라서 추상적 사고력과 논리성이 떨어지고 수개념의 이해와 집중력이 좋지않습니다. 학습능력도 저조하고 경험의 재구성을 통한 응용력과 판단력도 떨어집니다. 상식이 7점으로 1점이 높지만 의미있는 차이로는 보여지지 않고 전체적인 언어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학습에 적지않은 문제가 있으리라 예상됩니다.
․동작성 지능
언어능력에 비해 동작능력이 조금 높은 편인데 그 중에서 빠진곳 찾기는 10점으로 평균능력에 해당됩니다. 이는 사물의 본질적인 것과 비본질적인 것을 찾아내는 능력으로 무엇이 중요한지를 알아내는 능력입니다. 차례맞추기도 8점으로 정상범위에 속하는데 이것은 전체상황에 대한 이해력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토막맞추기와 모양맞추기, 기호쓰기가 낮은데 이는 시각과 운동의 협응능력을 나타냅니다. 눈으로 보고 이것을 몸으로 정확하고 적합하게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합니다. 따라서 글씨를 빨리 잘 쓰지 못하고 (알림장을 신속하게 쓰지 못함) 교사의 지시사항을 교사가 원하는 데로 잘 수행하는데 문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기호쓰기는 정신적 운동속도를 나타내는데 심리적으로 위축되거나 긴장을 하거나 불안하면 점수가 낮게 나올 수도 있습니다. .특히 우울증이 있는 경우 이 영역이 낮게 나오는데 전체적인 동작점수가 낮은 점으로 보아 우울로 인한 점수저하는 크게 예상되지 않습니다.
․종합의견․
전체적으로 지능이 낮은 아동이고 언어와 동작능력 골고루 발달이 필요한 아동입니다. 아동의 능력이 정상범위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이 아동을 위한 개별화된 학습이 이뤄지지 않으면 계속적인 학습결손의 누적으로 성취도가 떨어지고 이로인한 자존감의 결여 및 2차적인 문제가 발생될 수 도 있습니다. 아동의 능력을 정확히 파악하고 아동의 수준에 맞는 '맞춤교육'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 지능이 높은 아동 (사례2)
언어점수 : 상식 13 / 공통성 20 / 산수 18 / 어희 19 / 이해 17 / 숫자 12
동작점수 : 빠진곳 17 / 차례 17 / 토막 14 / 모양 20 / 기호 13
언어지능 147 / 동작지능 145 / 전체지능 152지능검사 결과해석
먼저 전체검사 점수 보다 언어와 동작의 영역별 점수가 더 중요하고, 각 영역별 내의 소검사의 점수도 중요합니다. 전체지능이 152이므로 최우수 아동에 해당되고 (상위 2% 이내의 아동) 매우 뛰어난 지적능력을 가진 아동으로 보여집니다. 그리고 일단 언어와 동작지능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고 보여집니다. (2점차이는 의미 없는 차이입니다)
․언어성 지능
공통,산수,어휘,이해는 매우 우수한 편입니다. 따라서 추상적 사고력과 논리성이 뛰어나고 수개념의 이해와 집중력이 좋습니다. 학습능력도 뛰어나다고 보여지고 경험의 재구성을 통한 응용력과 판단력이 좋습니다. 다른 영역에 비해 상식과 숫자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데 다른 언어의 세부 능력에 비해 이 두 영역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입니다. 다시 말해 추상력과 산수, 어휘력과 이해력은 좋지만 상대적으로 그러한 능력에 비해 기본지식과 청각적 단기 기억력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3점이상은 유의미한 차이로 볼 수 있습니다. 99%)
상식의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은 아이에게 아이의 능력보다 적은 교육적 자극이 주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흔히 외국에서 장기간 보냈거나 문화적 경험이 많지 않은 경우에 이럴 수가 있습니다. 또한 독서량이 부족하거나 너무 한 분야의 책만 읽으면 점수가 낮을 수 있습니다. 숫자는 주로 집중력을 나타내는 지표인데 환산점수 12점은 높은 편입니다. 집중을 잘 한다고 생각되면 약간의 불안의 요소가 있을 경우 이 점수가 낮게 나옵니다. 지나친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나 과다한 기대수준이 낮은 숫자점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동작성 지능
모양맞추기의 점수가 높은데 이는 지각능력과 재구성 능력이 뛰어남을 나타냅니다. 사고력을 요하는 시각-운동 협응력은 좋으나 상대적으로 단순, 반복적인 협응력은 떨어집니다. (기호쓰기의 점수 역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입니다. 95%) 사물의 본질과 비본질 적인 것을 잘 구별해 내기 때문에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빨리 찾아냅니다. 또한 전체 상황에 대한 이해가 빠르고 눈치가 빠릅니다. 토막짜기의 점수가 약간 낮지만 유의미한 정도는 아니고 그 밖의 다른 영역들 모두 우수한 편입니다.
기호쓰기 역시 정신적 운동속도를 나타내는데 심리적으로 위축되거나 긴장을 하거나 불안하면 점수가 낮게 나옵니다 .특히 우울증이 있는 경우 이 영역이 낮게 나오는데 점수가 13점으로 높게 나왔으니 걱정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종합의견
전체적으로 지능이 매우 우수한 아동이고 언어와 동작능력 골고루 발달된 아동입니다. 구지 덧붙인다면 아동에게 보다 다양한 문화-교육적 경험이 제공되고 아이에 대한 지나친 기대나 요구수준을 조금 낮춘다면 더욱 좋을 듯 예상됩니다. 지능검사는 아동의 능력검사의 일부분이므로 이 검사로서 아동의 능력에 대한 전반적인 판단을 하는 것은 큰 오류입니다. 최근에 부상하는 다중지능이론이 그러하듯 아동의 전반적인 잠재력을 계발하는데 더욱 관심을 가지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듯 싶습니다.
② MMTIC (DAP 형식)
내담자 |
○○○ (여자) 3학년 7반 담임교사 : □□□ |
상담날자 |
2001년 4월 13일 금요일 오후 2:00~3:00 |
상담주제 |
어린이 성격 유형 검사 (MMTIC) |
D사실 |
|
․현재 피아노 학원을 다니지 않기 때문에 부담이 적어졌고 생활도 조금 재미있어 졌다고 말함. 특히 ‘조금’이란 부분을 강조하여 말함.
․시종일관 웃음을 잃지 않고 성격검사에 대한 저항이나 거부감없이 매우 집중을 잘 하며 검사에 임함.
․검사결과 성격유형은 ENFP이며 U밴드 없이 모두 명확한 성격유형이고 주기능은 N(직관)의 결과를 얻음.
A평가 |
|
․ENFP형은 직관을 주기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계속하여 추구하며 (꾸준한 것과 반복적인 것을 싫어함) 호기심이 많고 열성적인 편이다. 충동적이며 에너지가 풍부해서 즉흥적으로 재빠르게 일을 해결하는 면이 강하다. (급하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음). 관심이 있으면 모든 일이든지 잘 척척하지만 상대적으로 자신이 싫어하는 것은 쉽게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
․ENFP가 가지는 가장 큰 어려움 중의 하나는 반복적인 일상적인 일을 견디지 못하는 경향이다. 따라서 계속적인 변화와 창의적인 시도가 필요하며 자신의 직관력과 창의성, 영감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일을 할 때 만족을 느낀다.
․ENFP는 세세하고 꼼꼼하게 하는 것을 잘 하지 못하기 때문에 학교에서 요구되는 많은 과업의 완성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학부모가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며 사실을 확장하고 일을 벌리는 경향이 있으므로 자신의 관심 분야를 잘 찾아 창의적으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에 잡히는 일부터 하기 때문에 시간관리를 잘 하도록 훈련할 필요가 있고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연습을 시켜줘야 한다.
․피아노학원에 다니는 것을 ‘혐오’했던 이유도 피아노 연습이 반복적인 연습이기 때문에 싫어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반복적인 피아노연습을 통해 음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심는 것 보다는 현재 하고 있는 ‘구연동화’나 ‘만화그리기’부와 같은 창의적인 활동에 보다 관심을 갖게 함으로써 흥미를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P계획 |
|
․학부모와 교사 consulting
․성격유형에 따른 나의 장점 발견하는 회기 (다음회기)
③ HTP (심리적 투사법)
•House•(집) 필수적인 지붕, 벽, 문, 창문이 있으나 특히 굴뚝이 강조되어 보임. 울타리에 표현한 자신의 가족에서 자신은 몸통이 없는 불완전한 존재로 표현함. (2학년 남자아동 : 학업부진) |
•Tree•(나무)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나무의 모습이지만 몸통에 그려진 나이테 모양은 심리적인 상처와 충격이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는 근거임.
(5학년 남자아동 : 자살충동)
|
|
•Person•(사람) 전체적으로 얼굴의 눈이 강조된 점으로 보아 의심이나 불안의 정도를 유추해 볼 수 있으며 하반신이 생략된 점을 보아 심리적인 불안을 고려할 수 있음.
(2학년 남자아동 : 문제행동) |
10) 참고문헌
•학교상담개론•
노안영(2000), 학교상담, 서울 : 학지사
한국청소년상담원(1999).학교상담실태 및 모형개발연구. 서울 : 한국청소년상담원
Gysbers, Norman C. & Henderson, Patricia (1988). Developing and Managing Your School Guidance Program, Virgina : American Association for Counseling and Development
Rye, Donald R. & Sparks, Rozanne. (1991). Strengthening K-12 School Counseling Program, Indiana : Accelerated Development Inc.
Schmidt, John (1996). Counseling in School. Boston : Allyn and Bacon
www.schoolcounselor.org : 미국학교상담가 협회
www.dpi.state.nc.us/curriculum/Guidance/index.html : 노스 캐롤라이나주 공립학교 상담교육과정
•ADHD 프로그램•
강위영, 공마리아(1998), 주의력 결핍 아동의 교육 프로그램, 대구 : 대구대학교출판부
안동현 (1997), 말 안 듣는 아이, 서울 : 하나의학사
이상복, 이상훈, 이효신(1997),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아동의 행동지도 방법, 대구 : 대구대학교출판부
Grad L. Flick(1998), ADD/ADHD Behavior-Change Resource Kit
Kim T. Frank, Susan J. Smith-Rex(1998) ADHD 102 Practical Strategies for 'Reducing the Deficit"
www.add.org : ADD 자료
www.chadd.org : ADD 사람들의 모임
cc.sungshin.ac.kr/~pkmchae : 한국 ADHD 사이버 센터
www.kidmind.co.kr : 마음샘 소아 청소년 클리닉
•자신감 형성 프로그램•
이영자 외(2000), 방과후 정시지능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이원구, 정태일(1999), 인간관계교육 프로그램, 서울
임효재(2001), 창의력을 키우는 몸짓놀이, 서울, 우리교육
한국청소년연맹(2001), 인간관계훈련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www.shyness.com : 부끄러움 관련 정보
•MBTI 프로그램•
김정택, 심혜숙, 제석봉 (1994), MBTI 개발과 활용, 서울 : 한국심리검사연구소
이정희 (2000), 성격유형과 학습스타일, 서울 : 한국심리검사연구소
www.mbti.co.kr : 한국 MBTI 연구소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양성)
www.kpti.com : 한국심리검사연구소 (MBTI 관련자료)
www.kapt.or.kr : 한국심리유형학회 (MBTI 소식 및 학술연구)
www.winwinman.com/ : 서강심리상담연구소 (MBTI 집단상담 프로그램)
•학습습관 프로그램•
김영진(1999), 효율적인 학습상담법, 서울 : 양서원
www.iss.stthomas.edu/studyguides : 학습전략에 관한 다양한 자료
•기타•
서울시서부교육청(1999). 상담교사 직무연수 교재, 서울 : 서울시서부교육청
서울시교육연구원(1997).학교적응교육 프로그램, 서울 : 서울시교육연구원
서울시학교보건원(2000). 학생상담을 위한 초등교사 직무연수 교재, 서울 : 서울시학교보건원
'자료밭 > 바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황별 교사의 화법과 자부심에 대하여 (0) | 2010.08.10 |
---|---|
나는 내가 배워야 할 모든 것을 유치원에서 배웠다. -로버트 펄검 (0) | 2010.03.18 |
고맙다, 사랑한다, 물아! (0) | 2010.03.06 |
자기 암시문 (0) | 2010.03.06 |
보스와 리더의 다른 점 (0) | 2010.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