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진단 및 시사점 요약
홍익대학교 서정화
1. 교육개혁에 관한 일반적 인식
설문대상 : 16개시도 초중등교원, 대학교수, 연구소 연구원 (4320명 조사)
설문기준 : ‘매우 그렇다’ ‘약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이명박 정부 교육개혁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설 문 내 용 |
평균 |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 내용은 시대적 흐름과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고 있다. |
2.66 |
학교교육 자율화, 다양화,경쟁력 강화 등의 정책 방향은 바람직하다. |
2.89 |
학교에서의 영어교육이 강화되면 학생들의 영어 실력은 크게 향상될 것이다. |
2.95 |
3단계 대학입시 자율화가 이루어지면 사교육비 부담이 줄어들 것이다. |
2.21 |
교육개혁 방안이 추진되면 교육의 질적 수준이 향상될 것이다. |
2.73 |
이명박 정부의 교육개혁은 앞으로 성공적으로 추진될 것이다. |
2.53 |
이명박 정부의 교육복지 정책은 성공적으로 추진될 것이다. |
2.59 |
교육개혁과제에 대한 동의 정도
설 문 내 용 |
평균 |
학생들에 대한 학업 성취도를 국가차원에서 평가해야 한다. |
2.98 |
교원평가는 실시되어야 한다. |
3.30 |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자율형 사립고는 확대돼야 한다. |
2.80 |
다양하고 질높은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학교 운영에 관한 권한을 학교에 더욱 위임해야 한다. |
3.61 |
사회적 배려 대상(취약계층)을 위한 교육복지 정책들이 다양하고 실제적인 내용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
4.11 |
자율적이고 독립적으로운영할 수 있는 국립대학의 법인화 도입 추진 |
3.58 |
학생선발을 전담하는 입학사정관제의 확대를 통한 학생선발 다양화 |
3.71 |
2. 교육개혁의 가치 및 전략에 관한 의견
이명박 정부 교육개혁을 통해 추진하는 핵심가치와 방향 중 가중 중시되야 할 것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면 교육의 자율화(27.9%) 교육복지 확충(25.2%) 다양화(23.4%) 그리고 책무성 강화(11.1%) 등의 순
교육개혁 추진에 있어서 가장 심각 한 문제점에 대한 이견은 일방적 밀어붙이기식 추진방식(42.3%) 정책의 방향 및 추구 가치의 미흡(26.8%) 체계적인 의사소통 미흡 (12.6%)
교육개혁 추진에 있어서 향후,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에 대한 의견으로는 ‘사교육비 절감 (44.7%) 소외계층을 위한 대책 강화(22.1%) 대학입시 개선 (16.4%) 그리고 수월성교육(10.2%) 등으로 나타났다.
'초대밭(펌) > 뉴스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학원에 대한 나의 생각 (0) | 2010.02.12 |
---|---|
[스크랩] MB정부 교육개혁에 점수를 매겨 볼까요? (0) | 2010.02.12 |
[스크랩] 교사는 기계가 아니다 - 아들공부로 본 인천시 일제고사의 문제점 (0) | 2010.02.12 |
[스크랩] 집값 상위 30개 지역, SKY대학 합격자 절반 차지 (0) | 2010.02.12 |
[스크랩] 교원평가, 진실과 현실 사이 (0) | 2010.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