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학개론 강의 내용(1주-7주)
순서 | 강의 주제 | 주 내용 | |
1 | 1 | 언어의 정의 특성 기능 | 언어특성 : 기호성, 자의성,사회성(불역성),역사성, 창조성, 체계성, 분절성, 추상성 언어기능 : 로만 야콥슨-언어가 소통되는 근본적인 요소 표현적, 정서적 기능/지령적/정보 전달적, 지시적/ 친교적, 상황적/초 언어적, 부연적, 관어적/미적, 시적 기능 |
2 | 언어학의 영역과 연구방법 | 일반언어학 : 세계 모든 언어에 공통되는 속성을 찾아내는 학문 개별언어학 : 특정한 언어를 골라 그 언어의 특징을 연구하는 학문 (국어학, 영어학, 독어학 등) 통시언어학 : 시대에 따라 변천해 온 결과물로서의 언어를 연구함 공시언어학 : 당대 언어 사용자들의 언어 지식을 연구함 이론언어학 : 말소리, 발음, 단어형성 원리, 문장 만드는 규칙, 말의 뜻과 같은 언어 그 자체를 연구하는 학문 하위 영역 :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화용론,어휘론, 방언 론, 문체론, 역사언어학, 계통론 등 응용언어학 : 언어학의 연구 성과를 인접 학문과 결합시키는 분야 하위 영역 : 사회언어학, 심리언어학, 언어철학, 수리철학, 수리언어학 등 | |
3 | 한국어의 특성 | 음운상의 특징 -파열음(ㅂ,ㅃ,ㅍ) 계열의 삼중 체계 -단모음의 수가 많음(10개 :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ㅚ ㅟ) -음절 끝소리 규칙 - 자음 중 파열음이 종성으로 올 때는 닫힌 소리인 7개의 대표음으로 발음됨 -두음법칙 : 단어의 첫 소리에 둘 이상의 자음이나 ㄴ, ㄹ 이 오지 않음 -모음조화 : 양성끼리(ㅏ, ㅗ) 음성끼리(ㅓ, ㅜ) -모음동화 : l 모음의 앞뒤의 모음이 l 모음을 닮아 비슷한 전설모음으로 바뀜 (손잡이-손잽이/메기다. 멕이다 살리어-살리여 등) -자음동화 : 이웃하는 자음끼리 서로 닮는 현상(비음화/설측음화) -음상의 발달 : 빙빙 > 삥삥 어휘상의 특징 -한자어 많아 고유어 위축/높임법 높임말이 발달 -감각어(색채어등)발달/상징어 발달(의성, 의태어) 구문상의 특징 -교착어(조사, 어미와 같은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말이 발달) -서술어가 문장의 맨 끝에 -문장의 요소를 생략하는 일이 많음 -자유어순/높임법 발달/의존명사(저기 거기)와 의존성 단위명사(한,두) 발달 | |
2 | 1 | 한국어 어문규범 ; 한글 맞춤법 | -소리대로/어법에 맞게/단어는 띄어 씀/외래어표기법대로 소리에 관한 것 -된소리(두 모음 사이 : 오빠/ㄴ,ㄹ,ㅁ, ㅇ 받침 뒤에서 : 잔뜩, 살짝) -구개음화(ㄷ, ㅌ 뒤에서 이 나 히 가 와서 ㅈ, ㅊ 로 소리가 나도 원래 대로 적는 것) -두음법칙(한자음, 단어 첫머리 : 녀 뇨 뉴 니 ---여 요 유 이) : 양심 역사 예의 용궁 유 행 이발 /낙원 내일 노인 뇌성 누각 능묘 예외 : 쌍룡(0) -모음 : 혜택/계집/계시다 (게/헤로 적지 않고)---한자 본음대로 적는 것 표준 발음법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 -이중모음 예외(가지어-가져/찌어-쪄/다치어-다쳐) -소리길이: 장단을 구별하되 단어 첫 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는 것을 원칙 -받침의 발음 : 여덟 넓다- ㄹ / 밟소 밟는 넓죽 - ㅂ) -받침 ‘ㅎ’의 발음 : ㄱ ㄷ ㅈ 과 만나면 ㅋ ㅌ ㅊ |
2 | 2 | 형태에 관한 것 | -체언과 조사/어간과 어미(값 : 갑씨 갑또/늙다 : 늘꼬 늘게 늑쏘) -접미사가 붙어 된 말은 그 어간의 원형으로 (깊이 높이/걸음 믿음/같이 굳이 많이/밝히 익히 작히) -어원 불분명 또는 어원에서 멀어진 것은 소리나는 대로 적기 (드러나다 사라지다. 코끼리, 거름, 오라비, 부리나케, 무녀리) -어형성 규칙 벗어난 것 귀머거리 까마귀 너머 뜨더귀 마감 마개 마중 무덤 비렁뱅이 쓰레기 거뭇거뭇 뜨덤뜨덤 불긋불긋 비로소 /나마 주터 조차/꼬락서니 끄트머리/ 모가치 바가지 바깥 이파리 지푸라기 찌개 사타구니 지붕 -불규칙활용의 예(원칙에서 벗어나는 대로 적어주기) : 어간의 끝에 ㄹ ㅅ ㅎ ㅜ ㅡ 가 줄어질 때--알고 아니 모두 인정 주의: 형용사인 경우만 좋니/좋으니를 모두 인정 자랑스러운(0) 자랑스런(X)/부끄러운(0) 부끄런(X) 아니꼬워(0) 아니꼬와(X)-ㅂ변칙일때는 음성모음 쓴다(가까워, 안타까워) -사잇소리 :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우리말 + 우리말 : 선짓국 나뭇가지 냇물 아랫니 나뭇임 뒷입맛 우리말 + 한자말 : 햇수 콧병 훗날 양칫물 예삿일 훗일 두음 절로 된 한자어 : 곳간 셋방 숫자 찻간 뒷간 횟수 ㅎ 소리가 덧나는 것 : 수벌 수소 수고양이 머리카락 살코기 수캐 수탉 안팎 |
3 | 표준어 사정 원칙 |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외래어는 따로 사정 :강낭콩 사글세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모음조화를 깨뜨린 것은 숫양/숫염소/숫쥐) -‘l'모음 역행동화 된 것은 비 표준어 -모음의 발음변화가 굳어진 경우 인정 : 깍쟁이 주책, 상추, 지루하다 호루라기 -어원의식이 작용한 것 : 부조, 사돈, 삼촌 -바람(0) 바램(X) -윗 - 명사가 올 때: 윗눈썹 윗니 윗도리 윗머리 윗목 윗몸 윗입술 -위 -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 : 위쪽, 위층, 위치마, 위 턱 -웃 - 아래 위의 대립이 없는 단어 :웃국 웃기 웃돈 웃비 웃어른 웃옷 <단수표준어> : 무가 표준어/무우 : 비표준어 --줄임말이 표준어로 많이 쓰임 -고어를 버리고 현대어 택함 : 설거지하다 애달프다 낭떠러지 -한자어 버리고 고유어 택한 예 : 외지다 움파 짐꾼 푼돈 -고어 버리고 한자어 택 : 단벌 산줄기 양파 윤달 총각무 칫솔 -방언과 표준어 모두 표준어 인정 : 멍게/우렁쉥이 물방개/선두리/윤달 총각무 칫솔 -방언이 표준어 된 것 : 막상 빈대떡 생인손 역겹다. <복수 표준어> : 구린내 쿠린내 / -든 : 선택 /던: 과거 를 나타냄 -소고기/쇠고기 헷갈리다/헛갈리다 / -아무튼(o) 아무튼(x) -되라(하 넣어 어울리면) : 인용 돼라(해 넣어 어울리면) : 명령이나 연결 | |
3 | 1 | 음운론의 개념 | 음소 : 음성 가운데 의미를 변별하는 데에 쓰이는 분절적 소리 운소 : 음성 가운데 운율적 특성을 갖는 비분절적 소리(음장 강세 성조 억양) 음성은 소리 음운은 추상적 인식 단위 음성학 : 말소리를 의미 분화의 기능에 관계 없이 순수한 과학적 대상으로 연구 말소리의 생성 및 전달 그리고 인지에 대하여 규명 말소리의 생성과정 -발동부 : 기류가 생성 되는 곳-폐 -발성부 : 말소리의 기본 성격 형성 성대의 진동(유성) 성대의 개방(무성) -조음부 : 조음 기관의 위치와 사용 방법에 따른 음가의 형성 * 조음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 결정되는 구강 비강 인두강에 의해 음색 결정 |
2 | 음성의 분류 | 자음분류 1)조음위치 : 양순음 ㅁ ㅂ ㅃ ㅍ / 치조음 ㄴ ㄷ ㄸ / 치경음 ㄹ ㅅ ㅆ 경구개음 ㅈ ㅉ ㅊ / 연구개음 ㅇ ㄱ ㄲ ㅋ / 성문음(후음) ㅎ 2)조음방법 : 파열음 / 마찰음 / 파찰음/ 비음 / 유음 3)기식성의 정도에 의한 분류 : 유기음-ㅍ ㅌ ㅋ 평음(무기음) ㅃ ㄸ ㄲ ㅂ ㄷ ㄱ 경음(긴장음) : ㅃ ㄸ ㄲ ㅉ ㅆ | |
3 | 모음의 분류 | 1)조음위치의 변화여부에 의한 분류-단모음(혀위치 무변)과 이중모음(혀의 위치 변함) 2 혀의 최고점에 의한 분류-높이 : 고모음 중고모음, 중저모음 저모음 전후 : 전설모음 중설모음 후설모음 3)혀의 좁힘점에 의한 분류- 닫힌 모음 반닫힌 모음 열린모음 *모음 사각도- 세극점 : l(혀앞 閉) ㅏ(혀뒤 폐) ㅜ(혀중간 開) |
4 | 1 | 음소와 변이음 (음운을 이루는 더 작은) | -음소는 음운론의 기본단위/다른 음소와 대립관계(산-싼) -밥의 두 ‘ㅂ’처럼 하나의 음소는 환경에 따라 다른 음가의 소리로 실현되는 데 이를 변이음이라 함 -중화: 음소들이 특정 위치에서 서로 대립을 잃는 현상 규칙- 1)자유변이음은 별개의 음소로 보지 않는다 2)최소변별쌍에서 뜻 차이를 가져오면 별개의 음소로 본다. 3)상보적변이음(조건변이음)은 별개이 음소로 보지 않는다 (영어에서는 p 와 b 가 별개의 음소이나 우리는 같은 음소) 4)보완: 상보적 변이음은 음성적 유사성이 있는 경우 별개로 -비분절 음운 : 3종류 1)장단음 : 일 (事) -장음 일 (一) -단음 2)연접 : 난 운다 - 나눈다/ 잘 안다 - 자란다 3)문말억양 : 밥 먹어↘ 밥 먹어↗ <음절>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여 가장 작은 발음의 단위 (말소리의 단위이므 로 꼭 뜻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음절의 형태> -첫소리는 ㄹ 이나 ㅇ 을 제외한 모든 자음(단 외래어는 첫소리에 ㄹ 이 올 수 있음 : 라면) -가운데 소리 -모음 21개 모두 가능 -끝소리 -자음 7개만 가능 운소란? 음성을 바꾸지 않으면서 말의 뜻만 달라지게 하는 음소 국어에서는 길이 억양 연접 |
2 | 음운 분포 제약 | 1)어두 및 음절 초 제약 : 초성에 단 하나 만의 자음만을 허락함 받침의 ‘ㅇ’ 즉 〔ŋ〕올 수 없음 ‘ㄹ’도 못 옴(라디오 로케트 레코드 라면은 외래어) ‘ㄴ’ 뒤에 ‘ㅣ’ 나 ‘ㅑ, ㅕ, ㅛ, ㅠ’ 가 올 때 못 옴 2)음절 말 제약 ; 종성에도 자음은 하나 만 온다(표기상으론 겹쳐쓰기도 하나 발음에 있어서는 7개의 자음만) 3) 비음 ‘ㄴ, ㄹ’앞에는 폐쇄음 ‘ㄱ, ㄷ, ㅂ’이 못 옴 뒤에 오는 자음이 ‘ㄹ’ 일 때는 ‘ㄹ’ 이 외에는 허용하지 않음 4)이중모음 ‘ ㅒ,ㅖ, 의’ 앞에서는 자음이 분포하지 않음 5)이중모음 ‘ ㅑ ㅕ ㅛ ㅠ ’ 앞에서는 ‘ㅅ ㅆ ㅈ ㅉ ㅊ’등이 오지 않음 6)중화 : 옷 빚 꽃 밭 등의 받침이 모두 ‘ㄷ’으로 중화를 일으킴 7)받침 ‘ㅎ’은 따로 취급 --‘ㄷ’으로 중화를 일으키기도 하나 뒤에 모음이 연 결될 때는 ‘ㅎ’이 탈락됨(놓은-노은) | |
3 | 음운동화/탈락과 첨가 | <음운 동화> -완전동화(설날-설랄) / 부분동화(잡는다-잠는다) -직접동화(즘승-짐승),유음화/ 간접동화(움라우트현상 올창이-올챙이) -역행동화(구개음화 비음화 ‘ㅣ’모음 동화) / 순행동화(원순모음화 모음조화 전설고모음화) -자음동화 중 구개음화(역행) -움라우드(‘ㅣ’모음 역행동화) : 아비-애비, 손잡이-손잽이, 먹이다-멕이다. 토끼- 퇴끼 죽이다-쥑이다----표준어로 인정하지 않음 예외)올챙이 냄비 멋쟁이 는 표준어로 -비음화/설측음화(천리-철리, 진로-질로)--ㄴ과 ㄹ 이 만날 때 만 -모음조화: 아퍼요-X(아파요-o)---의성어 의태어에서는 아직도 크게 지켜니 나 중세에 비해 많이 완화됨 <음운 탈락/첨가> -ㄹ 탈락 : 솔나무-소나무 말 소- 마소 딸님-따님 알니-아니 -ㅍ 탈락 : 알ㅍ다 -아프다 -나라ㅎ : 어간에 ㅎ을 갖고 있던 일부 명사 ‘따ㅎ’ ‘암ㅎ’ ‘수ㅎ’ -니를 : 니르러 -니르르니-니르르시고-----이르러-이르니-이르면 *언어 생략은 언어경제성을 위한 것/첨가-발음의 원활 첨가 : 고치다-곤치다(방언) / 더디다(중세)-던지다(현재)/소+아지-모음이 이 어져 있을 때 자음 삽입-송아지 |
5 | 1 | 문법 : 말의 구성 및 운용상의 규칙 또는 그것을 연구하는 학문 | 규범 문법적 태도 : 일정한 규칙을 제시하고 따르게 함으로써 통일된 언어 사용 지향 기술 문법적 태도 : 실제 사용하는 그 언어 자체가 규범이므로 그것을 찾아 기술하는 것이 목표 -어절 :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 문법 단위 -구 : 두 개 이상의 어절이 모여서 하나의 문장성분을 이루는 것(phrase) -절 : 주어와 서술어를 갖고 있으나 독립적으로 사용은 못함 *문장 성분 중 서술어의 비중이 가장 큼(생략되지 않음) *한국어 기본유형 : 주어와 서술어는 반드시 필요 서술어에 따라 목적어만/ 목적어와 보어/보어만 --구분 *주요 구성 요소가 후치(통사적 제약) --sov를 고정어순으로 하나 변화형태를 가질 수 있음 |
2 | 문장-어절-단어-형태소 | *형태소 : 형태론의 기본단위로 의미를 가지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 *자립 형태소: 혼자서 사용가능(명사 대명사 수사와 같은 체언들) *의존 형태소: 어간 어미 조사 접두사 접미사(혼자 쓰일 수 있는 자립성 없음) *실질 형태소: 실질적인 의미가 있는 것(어휘) *형식 형태소: 의미는 없으나 문법적인 필요(문법형태소) *유일형태소(=특이=불구) : 다른 형태소와 결합하는 관계가 제한적일 때 ----오솔길의 오솔/ 가랑개미, 가랑니 가랑비에만 쓰이는 가랑 *이형태 : 형태가 여러 개로 나타날 때 이들 형태들 간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 해 특별히 이형태라는 용어를 사용함 -조사 이 와 가 : 이는 자음 뒤, 가는 모음 뒤 *음운론적 이형태 (이/가, 을/를, 로/으로, 시/으시, 어라/아라(음성과 양성의 차이로 교체) *형태적으로 제약된 이형태 : 특정 단어 뒤에서만 교체가 실현 (았/었......먹었다/하얐다 가 아닌 하였다, 어라/너라....먹어라/오너라) *기본형 : 여러개의 이형태가 있을 때 그 중 어느 것 하나를 대표로 삼을 수 있음 *단어의 정의 : 휴지(pause)가 오거나 다른 요소가 끼어들 수 없다(분리 안됨) 단어와 단어는 띄어 쓴다. | |
3 | 단어의 형성 : 자립하여 쓰일 수 있는 말의 단위 최소 자립형식 | -단일어:하나의 어근(땅 하늘 시나브로) -복합어:합성어, 파생어 *합성어: 두 개 이상의 어근이 합쳐진 말(산나물 논밭 높푸르다) *파생어:파생접사+어근, 어근+파생접사(푸사랑 웃음 드높다) -어근 : 파생법이나 합성어에 나타나는 실질 형태소 -접사 : 어근에 붙어 그 뜻을 한정하는 주변 부분 *파생 접사 : 단어를 파생시킴 / - 굴절 접사(조사, 어미) 접두 파생법-품사에는 영향주지 않음--어휘적 접사 접미 파생법-품사를 바꿈(슬픔/먹음-형용사/동사⇒명사)--통사적 접사 <합성어> 대등 합성어 (논밭, 여닫다) 종속 합성어 : 앞의 어근이 뒤의 어근에 의미적으로 매여 있음 (통나무 돈타령 돌다리 갈아입다 돌아가다) 융합 합성어 : 두 어근이 결합하여 새로운 의미 형성 (입방아-수다. 돌아가다-죽다, 춘추-나이) <어근과 어근의 배열방식에 따른 분류> 국어의 정상적 단어 배열 방식에 따르면 통사적 합성어 : 먹을거리 정상적 배열 방식에 어긋나는 것은 비통사적 합성어 : 먹거리, 접칼, 오르내리다 검붉다 늦더위 부슬비 |
6 | 1 | 품사1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 -품사란? 문법적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서 갈래 지어 놓은 것 -품사 분류 기준 : 기능/형태/의미 *형태 : 단어의 굴절 여부{국어는 거의 영향 없다. 동사, 형용사) *역할(기능) : 체언 수식언 독립언 관계언 용언 *의미 : 명사 대명사 수사(체언) 부사 관형사(수식언) 감탄사(독립언)조사(관계언) 동사 형용사(용언) -수사 수관형사의 읽기 * 수학적 계산에서는 한자어로 읽는 것이 일반적 * 아라비아 숫자로 적힌 수사나 수 관형사는 뒤에 오는 단위가 고유어면 고 유어로 한자어면 한자어계로 읽음 * 시간 표시에서 시분초 중 시의 경우에만 고유어로 읽음 |
2 | 품사2 관계언-조사 | -관계언인 조사란? : 단어들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 첨가어인 국어에서 매우 발달함 의존 형태소 분리성이 강하고 생략도 자유로움 1)격조사 : 체언으로 자격을 갖도록 해주는 조사 -주격조사(이/가,께서,에서 서) -서술격조사(이다) -목적격조사(을/를) -보격조사(이/가: 아니다, 되다의 지배를 받음 -관형격조사(의)/부사격 조사: 에에서 에게 한테서 으로 하고 와 -호격조사 : 아.야, 이시여. 이여 2)접속조사 : 와/과.....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대등하게 이어줌 3)보조사 -어떤 특별한 뜻을 더해주는 조사: 밥도 밥만 밥은 -말하는 이의 어떤 생각이 전제되어 있을 때 : 다른 것도 먹어야 하는데 -말의 표현을 더 섬세히 하는데 도움이 되는 조사 | |
3 | 품사3 용언-동사 형용사, 관계언-어미 | 용언 : 주어를 서술해줌 동사와 형용사임(어찌한다, 어떠하다) 활용 : 어간에 여러 가지 어미가 번갈아 협상 -동작 : 동작이나 작용(움직임)-[는]과 결합함(먹는다)/[려,려고]결합됨 -형용사 : 성질이나 상태(모양)-[는]과 결합 못함(예쁘는다) | |
7 | 1 | 품사4 수식언-관형사 부사 독립언 -감탄사 | -관형사는 체언만 꾸민다. 형태상 대명사나 수사, 명사와 형태가 같아 통사적 기능에 의해서만 구별됨. 형태의 변화가 없다. -부사도 형태변화 없고 용언이나 다른 부사, 일부 체언, 문장전체를 수식함, 자유로이 위치를 옮길 수 있음. 문맥 속에 단독으로 쓰일 수 있음 |
2 | 문장의 성분 | -문장성분 ---주성분--주어/서술어/목적어/보어 부속 성분--관형어/부사어 독립 성분--독립어 *문장 성분은 대체로 어절 단위와 일치함 *영어는 간접 목적어 직접목적어가 인정되나 국어는 간접목적어 대신 부사어 로 다룸 | |
3 | 문장의 짜임 | -단문: 주어 서술어 1개 (둘 이상의 홑문장이 겹문장을 만드는 것을 문장의 확대라고 한다.) -복문(겹문장) ; 주어 서술어가 2번 이상 *안은 문장(명사절을/관형절을/부사절을/서술절을/인용절을)-내포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접속
|
'새김밭 > 내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일어의 다의성 (0) | 2012.12.09 |
---|---|
의미의 성분분석과 의미장을 이용한 어휘지도 방법 연구 (0) | 2012.12.09 |
한국문학 차시별 핵심 정리(1주-7주) (0) | 2012.12.09 |
의미론 차시별 강의 핵심 정리(1주-7주) (0) | 2012.12.09 |
다의어 (0) | 2012.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