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은 교육적 행위를 실천하기 위한 과정이고 계획이다.
교육적 행위는 어떤 목적을 갖고 실천되어야 하는데 어떤 목적을 갖고 인간에게 교육을 실천했는가하는 것이 교육의 최우선적인 물음이 될 것이다. 인간을 왜 교육해야만 하는가? 교육을 통해서 무엇을 얻으려 하는가? 에 답을 알고 있어야만 교육과 관계된 행위들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왜, 무엇을 얻고자 교육행위를 하고자 하는 지에 대한 질문은 철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교육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고 인간을 가장 이상적인 모습으로 만들어가는 것이라 전제할 때, 이상적인 모습이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얻어내는데 이용해야 할 것이 바로 철학인 것이다.
일단 철학적 견해가 무엇인지에 따라 교육의 본질이 결정될 것이고 상정된 교육의 본질을 만족하기 위한 일련의 교육과정들이 계획되는 것이 순서이다. 그렇다면 교육의 구체적 방법을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고, 이 교육과정의 방향과 목적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밑바탕이 바로 교육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철학의 문제임은 당연한 논제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흐름과 변천은 전통적인 교육철학에서 논의된 교육의 본질에 관해 살펴보고 현대의 교육에서 발견된 문제점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통한 교육의 지향점을 찾아 새로이 요구되는 교육과정의 방향과 방법, 내용 등이 결정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행동이 그 사람의 생각과 태도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것처럼 어떠한 교육철학을 갖고 교육을 바라보느냐에 따라 교육이념이 결정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목표와 방법을 제공해야 하는 교육과정의 성격과 조직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교육의 기본적, 전체적, 보편적, 근원적, 종합적 입장과 문제를 다루는 학문이 바로 교육철학이고 이 철학의 변화와 흐름에 따라 교육과정도 함께 변화하고 방향을 재조정해왔음을 과거 철학과 교육과정의 변천사 탐구를 통해 잘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교육철학은 교육이념과 목적을 세우고 교육내용 선정이나 조직에 관련된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릴 때 이념적 기초를 제공해주며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는 사람들 간의 협의적인 의사결정에 있어 구심적 역할을 해줄 뿐만 아니라 갈등을 최소화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 영역과 모순을 발견하는데 기본적인 준거의 틀이 되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교육철학과 교육과정과의 관계는 손바닥과 손등이 모여 원활한 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처럼 불가분의 관계인 것이다.
'새김밭 > 내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갯벌20주년 출판회 사회자 진행 시나리오 (0) | 2013.07.30 |
---|---|
구지가의 문학적 의미 (0) | 2012.12.09 |
학습우수아와 학습부진아의 스트레스 수준 비교 (0) | 2012.12.09 |
단일어의 다의성 (0) | 2012.12.09 |
의미의 성분분석과 의미장을 이용한 어휘지도 방법 연구 (0) | 2012.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