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의어
다의어 : 하나의 단어가 둘 이상의 관련된 의미를 지닌 것. 하나의 말소리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 중심적 의미와 하나 이상의 주변적 의미를 가지는 것, 관련된 의미의 형성은 단어의 기본적이며 원형적인 의미를 바탕으로 그 용법이 확장된 것
-중심적 의미 :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의미
-주변적 의미 : 중심적 의미에서 확장되어 사용된 의미
예) 손
중심적 의미 : 신체의 일부로 손바닥, 아기의 손, 손가락, 거칠어진 손
주변적 의미 : 일손-오늘도 한꺼번에 사람들이 밀려오는 바람에 손이 모자라 혼났어요.
교제-그 사람과는 이제 손 끊을거예요.
수완- 내가 손 쓸 틈도 없이 그렇게 망했어요.
소유-내 아들은 벌써 내 손을 떠난 지 오래 되었다네.
예) 길
1) 도로 : 길에는 차들이 꽉 막혀 거대한 주차장 같았다.
2) 기점 : 이 길로 다시 절로 돌아가거라.
3) 계기 :마트에 갔던 길에 네 생각이 나서 사왔지.
4) 방도 : 그렇게 밖에 살 길이 없었니?
5) 도리 : 힘들어도 스승의 길에 부끄러움 없는 언행을 가져야 한다.
【다의어(多義語)의 정의를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 단의어(單義語)와 비교】
예) 개(dog)
1) 개의 종류로는 삽살이, 진돗개, 푸들, 발바리, 세퍼드, 마르티스 등이 있다.
: 여기에서 개는 삽살이, 진돗개…… 등의 외적 범주로서 상하 관계를 이루는 단의어이다.
2) 아래에 제시한 3가지 경우는 개의 내적 범주로서 다의 관계를 이루는 다의어이다.
①개과에 속한 집짐승 : 우리 집 개는 성질이 온순해서 키우기가 쉬워요.
② 성질이나 언행이 막돼먹은 사람을 욕하는 말 : 그 남자는 평소엔 좋은데, 술만 마시면 개야.
③남의 앞잡이 노릇을 하는 사람의 비유: 일본의 개였던 사람들이 아직도 권력을 잡고 있다니 통탄할 일이지,
【다의어(多義語)의 정의를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 동음어(同音語)와 비교】
-다의어는 의미적으로 관련된 단어이고 동음어는 의미가 전혀 다른 둘 이상의 단어가 우연히 동일한 형태(소리)를 갖게 된 것으로 다의어와는 본질적으로 구분되는 개념이다. 즉 의미상 유연성(有緣性)이 없으면 동음어로 본다.
예: 나는 지금 한강 다리를 건너가고 있다. 키가 작은 나는 긴 다리를 가진 사람이 부럽다. 라는 문장 속의 ‘다리’는 발음과 표기가 모두 같지만 의미가 완전히 다르므로 다의어가 아니라 동음어이다.
-그러나 다의어에서 확장의미가 원형의미와 연관성을 갖기 어려울 만큼 확장이 진행될 경우 이를 하나의 단어인 다의어로 볼 것인가, 아니면 별개의 단어인 동음어로 취급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구분의 필요성은 사전편찬에서 구체적으로 현실화되는데 실제로 사전에서는 다의어의 경우 하나의 표제어로, 동음어의 경우 별개의 표제어로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다의어와 동음어의 한계가 불명확한 경우에는 다의어로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인간의 인지란 본질적으로 지각내용에 유기적인 해석을 부여한 것이므로 다의적 처리가 기억의 부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의어의 진정한 의미는 우리의 언어생활을 풍부하게 하는데 있다.
다의어의 의미는 사전에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하는 문맥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문맥이 정확하다면 의미를 파악에 별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으나 문맥이 애매한 경우에는 의미의 혼란이 오게 된다. 즉 해석하는 사람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지는 애매성을 해결하지 못하면 언어를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에 사고를 일으키는 쓸모 없는 골치거리가 될 수도 있다.특히 상식적 의미와 학문적 의미를 혼동할 경우에 자주 이런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사람들이 직관적으로 알고 있는 힘의 의미는 학문적으로는 질량 Ⅹ가속도의 역학관계에 의해 정의되므로 상식적인 의미와는 거리가 멀다. 결론적으로 다의어의 정확한 의미파악을 위해서는 명시된 문맥 속에서 이루어져야 의사소통의 애매함이나 모호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통의 사고를 줄일 수 있다.
'새김밭 > 내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문학 차시별 핵심 정리(1주-7주) (0) | 2012.12.09 |
---|---|
의미론 차시별 강의 핵심 정리(1주-7주) (0) | 2012.12.09 |
교사의 효과성에 요인 연구의 필요성 (0) | 2012.12.09 |
공무도하가 (0) | 2012.12.09 |
고전문학 시대별 정리 (0) | 2012.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