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밭/국 어

잘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길길어멈 2010. 4. 4. 20:48
잘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옳은 표현
 
잘못된 표현
 
받침이 있을때
 
  꽃 + 이에요 (ㅇ)
꽃이예요
받침이 없을때
 
하는 거 + 예요 (ㅇ)
하는 거에요
동사와 형용사의 경우 어간에 '에요'
     아니에요 (ㅇ)
  주의 (받침이 없지만 예외)
 아니예요(잘못된 표현)
가십시오 (ㅇ)
가십시요
 
놀란 가슴 (ㅇ)
놀랜 가슴
왠지 모르게 (ㅇ)
웬지 모르게
생각건대 (ㅇ)
생각컨데
내로라 하는 (ㅇ)
내노라 하는
주책없다 (ㅇ)
주착없다 
고마워요 (ㅇ)
고마와요
며칠 (ㅇ)
몇일
안 했다 (ㅇ)
않 했다
알맞은 답 (ㅇ)
알맞는 답
무엇이나 가리지 않음의 뜻       
오든(지) 가든(지) 알아서 해라 (ㅇ)
오던지 가던지 알아서 해라
지난 일 회상이나 막연한 의심·추측·가정
어찌나 우습던지(ㅇ)
어찌나 우습든지
배춧잎 나부랭이 (ㅇ)
배추잎 나부래기
숟가락 (ㅇ)
숫가락
-습니다 (ㅇ)
-읍니다
우레 (ㅇ)
우뢰
안성맞춤 (ㅇ)
안성마춤
이제 갈게 (ㅇ)
이제 갈께
아무튼 (ㅇ)
아뭏든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ㅇ)
삼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생각건대 (ㅇ)
생각컨대 
저의 바람은 (ㅇ)
저의 바램은
그 사람을 나무랐다 (ㅇ)
그 사람을 나무랬다
멋쩍게 서 있었다 (ㅇ)
멋적게  서 있었다
김치를 담가 먹다 (ㅇ)
김치를 담궈 먹다
문을 잠갔다 (ㅇ)
문을 잠궜다
자장면 곱빼기 (ㅇ)
짜장면 곱배기
애끊는 슬픔 (ㅇ)
애끓는 슬픔
들이-켜다 [타동사] 물 따위를 마구 들이마시다.
 물을 들이 켜고(ㅇ)
물을 들이 키고
두꺼운 외투를 입고 (ㅇ)
두터운 외투를 입고
일찍이 (ㅇ)
일찌기
찻-삯이 없어서 (ㅇ)
차삯, 차 값이 없어서
두 칸짜리 전셋집 (ㅇ)
두 간짜리 전세집
'부르다'의 피동사로 여기에 다시 접미사 '-우-'를 넣을 필요가 없다.
 내 이름이 불렸을 때
    (ㅇ)
내 이름이 불리웠을 때
그 이야기의 초점
그 이야기의 촛점
이래 보이어도(이래 봬도) 
 이래 봬도 마음만은 (ㅇ)
이래 뵈도 마음만은
기본형 : 치르다 
돈을 치렀다 (ㅇ)
돈을 치뤘다
재떨이 (ㅇ)
재털이
 
※파란 색의 글씨는 모두 옳은 맞춤법입니다.

 

그 밖의 주의해야할 맞춤법의 예

종류 
 
근거 
 
옳은 맞춤법 표현들
‘~으로서’
어떤 지위나 신분, 자격을 가진 입장에서를 나타내는 조사로 쓰인다.
그런 입장의 사람로서
‘~으로써’
재료, 수단, 방법을 나타내는 조사로 쓰인다. 
상품권으로써
 대신 지불했다.
사이시옷 받침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한글과 한글의 합성어인 경우 사이시옷 받침
 
예삿일, 하룻동안, 전셋집, 훗날, 제삿날, 햇수, 나뭇가지,
바짓가랑이 
‘~와’
단음절 어간의 끝 ‘ㅂ’이 ‘~아’와 결합하여 ‘와’로 소리나는 경우는 ‘~와’로


'교과밭 > 국 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우리말 단어 모음   (0) 2010.04.04
순수한 우리말 100가지  (0) 2010.04.04
[스크랩] 1학년 2학기 받아쓰기 급수카드  (0) 2010.04.03
원고지 쓰는 법  (0) 2009.12.12
띄어쓰기  (0) 2009.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