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에 대한 부모 역할
부모는 출생 후 가장 처음 접촉할 뿐 아니라 끝없이 밀착된 인간관계를 맺게 된다. 그런데 요사이 부모노릇이 쉽지 않다고 어려움을 토로한다. 부모와 청소년간의 갈등, 더욱 골이 깊어지는 세대차, 청소년과 부모들이 동시에 겪는 입시지옥의 고통이 극심하기 때문이다. 그러기 때문에 더욱 부모로서 청소년에게 수행해야 할 역할이 강조된다.
첫째, 청소년들의 동일시를 위한 모델로서의 역할이다. 청년기에도 부모는 여전히 "중요한 타인"으로 영향력을 미친다. 부모는 가장 자세히 볼 수 있는 성적 역할 모형이 되며 아버지는 청소년의 직업적 자아형성에 중요한 모델을 제공한다.
둘째, 청소년들에게 성취를 위한 동기 부여자로서의 역할이다. 부모는 자라나는 자녀들이 학업이나 직업에 있어서 그들의 잠재능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그들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수준의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그러나 현 실정은 부모의 높은 학업적 기대와 그들의 낮은 능력 사이에서 고민하는 청소년 문제가 심각하다.
셋째, 부모는 자녀들의 행동 강화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부모는 상과 벌로 자녀들의 행동을 통제한다. 그러나 청소년기는 도덕성 발달 단계가 자율로서 단계에 해당, 그러한 보상으로는 충분치 않다. 자녀들의 행위의 동기와 결과에 대한 판단을 유도하고 도덕적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케하는 상대적방법을 병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넷째, 부모는 가족간의 대화와 공동작업의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 가정은 애정과 화목감과 같은 정서적 분위기는 짙은데 지적자극이 부족하다고 말한다. 특히 현대 가정은 맞벌이 부부가 증가, 가족원의 바깥활동의 증가, 가족의 생산적 기능의 약화 등으로 가족원들간의 대화나 공동작업은 더욱 감축되었다.
다섯째,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부모 역할은 자녀에게 애정을 표현하는 일이다. 사랑의 교육자 페스탈로찌는 이렇게 말했다. "제가 모성에게 요구하는 것은 단 한 가지입니다. 그것은 배려 깊은 사랑입니다. 사랑은 다른 어떤 것보다 중요한 레일의 조건입니다. 그 사랑을 언제나 강하게 발동시키되 늘 생각하고 조절하면서 표현하라는 것입니다."
'샘들밭 > 좋은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영상-학교에 대한 학부모의 잘못된 이해(교육인적자원부 제공) (0) | 2010.03.18 |
---|---|
동영상-변화되어야 할 학부모 (0) | 2010.03.18 |
저의 자식을 이러한 인간이 되게 하소서. (0) | 2010.03.06 |
나와 자식을 향한 기도 (0) | 2010.03.06 |
좋은 부모가 되는 28가지 지침과 케네디 가문의 자녀교육-모셔옴 (0) | 2010.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