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생이 열심히 공부해야 하는 까닭은?
|
“아빠, 공부는 왜 해요?” “꿈이 아프리카에서 봉사 활동하는 것인데 왜 화학을 배워야하죠?”
고교 1년생인 딸아이가 궁금해 묻더군요. 그러고 보니 중고교 때 왜 열심히 공부해야 하는지 배워본 적이 없네요. 그게 정말 교육인데…. 이에 대해 딸아이와 밤 이슥할 때까지 얘기하고, 오늘은 그때 나눈 얘기를 정리해서 e메일로도 보냈습니다. 혹시 자녀나 제자에게 도움이 될지 몰라 ‘건강편지’에 소개합니다. 공부(工夫 또는 功夫)는 한자 어원상으로는 ‘지아비가 되는 노력’을 뜻합니다. 지금 상황에 맞게 해석하면 ‘삶을 책임지는 사람이 되기 위한 노력’ 정도가 되겠지요. 중국어로는 쿵푸이지요. 또 공부의 영어단어 ‘Study’는 라틴어 ‘Studere’에서 온 말인데 ‘(무엇을 추구하면서) 열심히 노력하다’는 뜻입니다. 어원을 보더라도, 공부는 인격의 고양이나 가치의 실현을 위해 평생 해야 하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청소년기 공부의 목적은 무엇일까요? 여섯 가지를 들 수가 있겠더군요.
첫째, 평생 공부의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 것입니다. 인류는 지식의 축적을 통해 진화했습니다. 개인도 마찬가지로 지식을 쌓아가면서 발전하지요. 청소년기에 삶의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기초지식을 습득하면 이것이 나중에 본격적 공부를 하기 위한 소재가 될 겁니다. 둘째, 뇌의 사유틀을 발전시킵니다. 언어학,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은 각각 고유한 사유틀이 있습니다. 뇌는 대체로 20세까지 성장하는데, 청소년기에 다양한 사고의 틀을 발전시키면 뇌가 폭 넓게 사유할 수 있게 구조화되겠지요? 셋째, 지적 호기심을 기르는 과정입니다. 인류가 지식을 쌓은 것은 호기심의 결과가 아닐까요. 성인 중에서도 지성적인 사람은 대체로 지적 호기심이 많습니다. 넷째, 전략적 사고를 익힐 수가 있지요. 목표를 세우고 계획을 짜서 이를 효율적으로 달성해야 성적이 좋아지지요. 이런 과정이 몸에 배면 ‘성공하는 삶’을 살 수가 있겠지요. 다섯째, 극기력과 인내력을 기를 수가 있습니다. 요즘 젊은이 중에는 어떤 목표를 세우고도 조금만 힘든 상황이 생기면 자기합리화를 하면서 포기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공부는 '해야할 일을 끝까지 하는 능력'을 길러줍니다.
어떻습니까? 수긍이 가는지요? 어른과 마찬가지로 청소년도 ‘왜’에 대해 명쾌하게 알고 있을 때 ‘Study’의 어원대로 기쁘게 무엇인가에 열심이지 않을까요?
이럴 때에 《논어》 첫머리에 있는, ‘열심히 공부하고 이를 실천하면 즐겁지 않겠는가(學而時習之不亦說乎)’란 말이 생생히 다가오지 않을까요?
<제 562호 건강편지 ‘초콜릿과 책’ 참조>
|
|
|
'자료밭 > 정보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 너의 정체를 밝혀라 (0) | 2012.01.24 |
---|---|
[스크랩] 이 귀한 자료를 잘 보관 하시고 여행시 참고 하세요. (0) | 2011.12.27 |
육십갑자 따져 읽는 법 (0) | 2011.11.16 |
[스크랩] 귀중한 자료 (0) | 2011.11.15 |
정확한 발음이 궁금할 때 (0) | 2011.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