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밭/정보방

약먹지 않고 고혈압 조절하기-펌

길길어멈 2011. 3. 27. 00:03

 

제휴카페   "고혈압 비만 부종 상큼하게 아듀~!"       http://cafe.daum.net/we9988

 

 

 

 

위 사진은 2010년 10월 20일 측정한 혈압(161/112mmhg)입니다.

저는 혈압을 조절하면서 혈압을 측정한 것을 카메라에 담아 두었다가 날자 별로 사진을 다음카페에 올려 놓았습니다.  주소로 가시면 위 사진을 볼 수 있을 겁니다.

자료주소 = http://cafe.daum.net/we9988/Fx9i/5

이 당시 저는 혈압약을 복용하다가 중단하고 음식요법으로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었습니다. 고혈압에 좋다는 엑기스를 많이 마시고 있었지만 혈압 조절이 되지 않아 고심하고 있었습니다. 161/112mmhg 이 수치는 고혈압 3기입니다. 아마 엑기스를 마시지 않았다면 200/130mmhg이상 올라갈 수도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저는 팔팔즙과 아가위즙을 마시고 고혈압을 극복하였습니다.


 


 

 

여기 위에 보이는 혈압은 이로부터 70일 후 2011년 11일(오늘) 아침 7시에 측정한 혈압(121/75mmhg)입니다. 이렇게 정상혈압이 되었습니다.     참고자료 =  http://cafe.daum.net/we9988/Fx9i/71

저는 70일 만에 정상혈압이 되었습니다만 제가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알게 된 노하우를 알면 저보다 훨씬 빠르게 정상혈압이 될 것입니다. 저는 처음에 엑기스를 1포씩만 먹었습니다. 그래서 혈압이 잘 내려가지 않았고 1개월 이상의 정체기를 경험하였습니다. 그 후 2가지를 2포씩 마시고 급속하게 혈압이 안정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님들께서는 제가 70일 동안 경험한 것을 30일 내에 경험 하실 수도 있을 겁니다.

 

그럼 여기에서 제가 혈압약을 먹게 된 경위말씀 드리겠습니다.


 사실 저는 3년 전부터 혈압이 높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가끔 혈압을 체크해 보면 거의165~155/ 102~112 정도로 체크되기 때문에 걱정은 되면서도 혈압 약을 먹기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한다고 하니 혈압 약을 먹지 않고 고혈압에 좋다는 약초들을 가끔 달여 마시면서 생활하고 있었습니다. - 그러나

2010년 8월6일에  날씨는 덥고 일을 잘 풀리지 않아서 긴장을 하고 있었는데 과거에는 없었던 증상 즉, 머리도 심히 아프고 어지럽고 속이 메스꺼워서 토할 것 같은 느낌이 오는데 그 증상이 점점 심해지는 겁니다. 저는 인터넷으로 나의 증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검색을 해 보았는데 뇌경색 초기증상과 유사하다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래서 집에 있던 뇌졸중에 좋다는 천마즙을 대여섯 봉지 마시고 통증을 완화 시키는 엄가피차도 마시고 그래도 증상이 심화되어 병원에 갔었습니다.
당시에 저는 천마즙을 많이 먹어서인지 다행히 병원에 가는 도중에 상태가 더 악화되지는 않아서 진찰을 받고 주사를 한대 맞고 복용할 약을 5일 분 처방받고 왔습니다. 

아래  이미지가  당시 처방전입니다.

 

다행히 3일 동안 약을 먹고 증상이 없어지자 저는 약을 먹지 않았습니다. 그 후 며칠은 기분도 좋아지고 모든 면에서 건강을 회복한 것 같았습니다. 그러나 이후 조금씩 머리, 뒷목 등이 조금씩 아프고 힘도 없고 하더니 며칠 후 에는 너무 아파서 일을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혈압이 높은 증상 같아서 내과에 가서 진료를 받았습니다.


할 수 없이 혈압 약을 먹기 시작하다.
이때 혈압을 175/115 으로 기억합니다.  수축기 혈압은 고혈압 2기에 해당하지만 이완기 혈압은 115로 고혈압 3기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혈압 약을 1주일 분 처방 받고 일주일후에 다시 오라고 해서 혈압 약을 먹기 시작했는데 2~3일 후에는 머리도 아프지 않고 기운도 나고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었습니다.  1주일 후 병원에 가서 혈압을 체크해 보니 128/87이 나왔습니다.  
의사선생님이 만족하면서 혈압약이 잘 받으니 계속해서 혈압 약을 복용하라고 하면서 1개월분 혈압 약을 처방해 주었습니다.

 

그 후 혈압 약을 20일 정도 복용했는데 평생 혈압 약을 먹어야 한다고 생각하니 너무 한심스러워서 어떻게든 혈압 약을 복용하지 않고 고혈압을 치료할 방법을 찾아야 하겠다고 생각하게 된 것입니다.

특히 혈압약을 3~4알 복용하고 있는 앞집의 세탁소 사장님의 건강을 보면 정말로 벗어나고 싶었습니다.  그 집은 부부가 혈압약을 10년 정도 복용하셨는데 기운이 없어 보입니다.  연세는 60대 초반이신데 몸이 약하니 등산도 못하고 여행도 못다니십니다.    그래서 더욱 혈압약을 중지해야 하겠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혈압계를 구입하고 혈압약 복용을 중지
저는 먼저 혈압계를 구입하였습니다. 그래서 혈압이 너무 높게 올라가면 혈압 약을 먹고 내려가면 먹지 않으려고 준비하였습니다.  그리고는 혈압약 복용을 중지하였습니다.  그리고 저의 집에 있는 엑기스를 대량 먹었습니다. 그러나 혈압약 복용을 중지한지 3~4일이 되면 머리와 뒷목이 아프고 혈압도 160/110 이상 올라서 하는 수 없이 다시 혈압 약을 먹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고혈압에 좋다는 약초 10여 가지를 한꺼번에 넣어서 달여서 마셨는데 다행히 머리가 별로 아프지 않고 혈압도 152/97 정도로 내려와서 혈압 약을 먹지 않고도 견딜 수 있었습니다.  이때 저는 정말 기뻤습니다.  혈압 약을 먹지 않고도 고혈압을 이겨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기 때문입니다.

 

70일이 지난 지금 저의 평균 혈압은  정상(130/85미만)입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혈압을 측정하면 110/70정도로 측정 될 때도 있습니다.

혈압은 수면 시간에 가장 안정됩니다.

물론 낮 시간에 긴장을 하면 혈압이 높게 측정 될 때도 있습니다.

70일 만에 혈압이 이렇게 내려가서 저는 대단히 만족하고 있습니다.

 


고혈압 분류 기준 18세 이상 성인

분   류

수축기 혈압

(최고혈압)

이완기 혈압

(최저혈압)

대   책

정상혈압

130 미만

85 미만

2년 안에 재 검사

높은 정상혈압

130-139

85-89

1년 안에 재 검사

고혈압 제1기(경증)

140-159

90-99

2개월내 확인

고혈압 제2기(중등도)

160-179

100-109

1개월내 진료

고혈압 제3기(중증)

180-209

110-119

1주일내 진료

고혈압 제4기(심한 중증)

210 이상

120 이상

즉시 진료

                                   ↑ 1993년 미국 고혈압합동위원회(JNC) 5차 보고서

 

↓고혈압 분류 기준 18세 이상 성인 (JNC-7지침)7차 보고서

혈압분류 수축기 혈압(mmHg) 이완기 혈압(mmHg)
정상 120 미만 80미만
고혈압 전단계 120-139 80-89
1기 140-159 90-99
2기 160 또는 그 이상 100 또는 그 이상

 

▣ 고혈압을 정상혈압으로 조절하자

 

현재 혈압약을 복용하여 혈압을 조절하는 분이라면 혈압약을 중단하고 음식요법으로 고혈압을 조절해야 좋습니다.

혈압조절 목표를 1차, 2차, 3차로 설명 합니다.

 

 

▣ 1차 혈압조절 목표(혈압약을 복용하는 현재의 혈압 유지)

 

혈압약을 복용하시는 분은 자신의 혈압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①인터넷 쇼핑몰이나 의료기 판매점에서 자동혈압계를 구입합니다.

②*기상하는 시간, *아침, *점심, *저녁, *취침하는 시간 등 하루에 5회 이상 측정 하여 평균치를 냅니다.

그것이 당신의 현재평균혈압입니다.

만일 혈압약을 복용하는 당신의 현재평균혈압이 150/95mmhg 정도이면 혈압약 복용을 중단하고 엑기스도 마시지 않으면 혈압이 210/120mmhg 이상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높게 올라가게 될 혈압을 150/95mmhg 아래로 유지시키는 것이 혈압조절 1차 목표입니다.

 

  먼저 아래  6가지 식생활 요법을 실행하십시오. 그렇게 하면서 팔팔즙과 아가위즙을  마시는 겁니다.

 

★ 흰 쌀밥 보다는 잡곡밥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 야채를 많이 먹습니다. - 국에 당근, 배추등 야채를 듬뿍 넣어 끓이고 생야채 쌈을 많이 먹습니다.

★ 술은 약간만 담배를 끊습니다. - 환자가 병을 고치는 데 술과 담배는 당연히 해롭습니다.

★ 운동을 하루에 1시간 이상 등에서 땀이 날 정도로 합니다.

★ 하루에 수면을 8시간 정도, 최소한 6시간 이상 수면을 하여 피로가 충분히 회복 되도록 합니다.

★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생활을 하고 마음의 안정을 꾀합니다.

 

 

 ○  혈압약복용을 중단하고 하루 3끼 식사 후에 팔팔즙 2포, 아가위즙 2포를 마십니다. 한끼에 4포입니다. 

 4포라 하여도 400ml이므로  우유 2봉지 정도 입니다.  옛날 한약을 달여 마실 때 한 그릇씩 달여 마셨는데 옛날 그릇으로 한그릇은 안될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병을 고치려면 이 정도는 마셔야 하지 않겠습니까?

 

이렇게 하루 3번 마시면 하루 12포를 마시게 됩니다. 보통 액상차는 하루 1~2포 마시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러나 고혈압을 치료하는 것이므로 조금 마시면 효과가 없습니다. 하루 12포를 마시게 되면 혈압조절효과가 상당히 높습니다. 아마 상당수의 사람들이 혈압약을 복용할 때와 같은 수치 아래로 조절 될 겁니다.   

 

 ○ 그러나 혈압약을 오랫동안 복용하신 분은 혈압이 계속 오르면서 조절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한번에 3포씩 하루 18포를 마십니다. 이렇게 마시면서 아래 내용을 참조하여 고혈압에 좋은 음식을 준비하여 섭취하며  더 많은 분들이 혈압 조절에 성공할 겁니다.   혈압 조절이 잘 되지 않는 분들은 팔팔차와 아가위차를 더 많이 드시고 고혈압에 좋은 음식을 집중적으로 많이 조리해서 드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성공하실겁니다.

 

   

  ▣ 2차 조절 목표 - 수면시간 혈압 120/80mmhg 유지

 

1차 조절에 성공하시면 2차 조절 목표는 수면시간(잠자는 시간)의 혈압을 120/80mmhg 이하로 내리는 것입니다.

고혈압이면 혈압이 일정하지 않습니다.  기분이 조금 나쁘면 혈압이 올라가고 일을 해도 혈압이  올라 갑니다.  아침에는 혈압이 조금 낮게 측정되고 오후에는 높게 측정됩니다.  혈압이 제일 안정되는 시기는 잠을 자는 시간입니다.   잠을 자는 시간이 가장 혈압이 내려 갑니다. 그래서 먼저 잠자는 시간 부터 혈압을 조절하는 겁니다.

저는 잠을 자는 시간에는 혈압이 120/80 이하로 내려 갑니다.  아침 새벽 일어나서 누워서 혈압을 측정하면 120/80 이하로 내려 갑니다.  그러나 낮에는 혈압이 많이 올라 갑니다.   어떤 특별한 경우는 150/100이상 올라 갈 때도 있습니다.

 

계속 꾸준히 하루 3끼 식사 후에 팔팔즙 2포, 아가위즙 2포를 마십니다.  이렇게 마셔서  아침에 일어나서 반듯이 누워서 측정한 혈압이 120/80mmhg 이하이면 성공입니다.

수면시간의 혈압을 정상으로 낮추는 것의 중요성은 우리 몸은 수면할 때 정화하고 치료하는 일을 수행합니다. 이 시간에 혈압이 정상이면 장부(5장6부)가 정상적으로 정화기능과 치료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건강에 큰 도움이 됩니다. 1차 목표에 성공하면 2차 목표는 비교적 쉽습니다. 위에 기록된 7가지 방법을 충실히 시행하면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르겠으나 1개월 내에 성공할 수도 있습니다. 저의 경험으로 봐서 1차 목표가 성공하면 2차 목표 달성은 아주 쉽습니다. 2차 목표가 성공하면 혈압을 잡을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실 겁니다.  그리고 몸도 한결 좋아질 겁니다.

 

▣ 3차조절 목표 - 항상 120/80mmhg 유지

 

이차 목표 조절이 성공하면 낮 시간에 혈압이 오른다 해도 대부분  159/99mmhg 이하 일 것입니다. 이 정도 혈압이면 뇌졸중 위험은 걱정할 수준은 아니라고 봅니다. 그러나 이때 관리를 중단하면 다시 원래대로 고혈압이 될 수 있으니 계속적인 관리가 있어야 합니다.

계속 식습관을 개선하고 팔팔즙과 아가위즙을 마시면 혈압이 더 내려가서 일어나자마자 반듯이 누워서 측정하는 혈압이 110/75mmhg 이하로 내려 갈 수 있습니다. 이렇게 혈압이 내려가면 엑기스 마시는 양을 줄여야 합니다.  수면시간에 혈압이 너무 내려가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습니다.  이제 부터는 한끼에 1포씩 마시기 바랍니다.

저는 요즘 한끼에 1포씩 마시고 있습니다. 제가 기록하고 있는 혈압 일기를 보시면 아실테지만 ...

 

한끼에 1포씩 마셔도 계속해서 혈압이 110/75mmhg 이하로 내려가면 아침에는 팔팔엑기스 1포, 저녁에는 아가위엑기스 1포를 마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마셔도 계속해서 혈압이 110/75mmhg 이하로 내려가면 팔팔즙과 아가위즙을 마시는 것을 중지하는 겁니다.

낮에 혈압이 정상(120/80)이 되지 않아도 중지하는 겁니다. 그리고 앞으로는 음식으로만 조절하는 겁니다.

이 시기에는 본인의 몸 상태를 본인이 제일 잘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적절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몇 개월 후에 ‘팔팔’과 ‘아가위’를 마시지 않아도 수면시 혈압이 120/80mmhg 이하를 유지하고 있고 낮에 140/90mmhg 이하를 유지하게 된다면 그냥 편하게 이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도 건강상 좋은 일이라고 봅니다.

꾸준히 자신의 몸을 관리하는 분은 틀림없이 건강해 집니다.

 

혈압을 관리하면서 자주 통화 하게 되기 바랍니다. 

제가 먼저 경험을 하였기 때문에 저의 경험을 최대한 모두 알려 드리겠습니다.

 

 

 

 

 

 

 

최대한 저렴하게 공급합니다.  

 

팔팔즙(汁) 90포 1박스는 50,000원에 판매합니다.

팔팔즙은 삼백초, 익모초, 당귀, 두충, 칡, 가시오가피, 뽕잎, 천궁 등 8가지 이상의 약초를 넣어 정성껏 달인 한방차 입니다.    팔팔차라고 명한 이유는 8가지 이상의 약초를 넣어 달인 차를 마시고 팔팔하게 활동하시라는 의미에서 그렇게 지었습니다.  

 

아가위즙(汁) 90포 1박스는 25,000원에 판매합니다.

 

아가위 건강성분 : 쿠엘세틴 오레아놀산, 클로로겐산, 카로틴, 비타민 B1, C 등

 

90포 박스 기준으로 2박스까지 묽음 배송 가능합니다.

배송비용을 착불입니다. (5,000원)

  

전화(064-759-9880)로 주문하면 문 앞까지 배송해 드립니다.

 

 

 

구구팔팔건강원    전화 (064) 759-988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삼도2동 186-4  

계좌번호 : 제주은행 01-02-523670   예금주 : 고창남

************************************************************************************

 

 

 

 

세상이 다 그렇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혈압약으로는 고혈압을 치료할 수 없습니다.

의사들은 말합니다. 고혈압은 불치병이라고 평생 약을 먹어야 하는 불치병이라고

그에 맞추어 요즘 사회 분위기도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하여 식생활을 개선하라 는 외침 보다 혈압약을 꼬박꼬박 먹어라 는 분위기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고혈압은 치료되는 병이 아니니 평생 약을 먹으면서 살아라.’ 라고 주장하는 분위기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자본주의 사회입니다.

즉 돈이 많은 사람들 위주로 돌아가는 사회입니다.

혈압약이 많이 팔리면 누가 돈을 많이 벌겠습니까? 글로벌 제약회사들입니다. 약의 원료는 매우 저렴하지만 약으로 가공되면 그 가치가 수백배 뛰어 오릅니다. 엄청난 수익을 올리는 겁니다. 그러므로 약을 많이 팔기 위하여 모든 방면으로 로비를 하지요. 그 로비의 힘이 미국 고혈압학회를 욺직였고 미국 고혈압학회에서는 경증인 고혈압환자에게도 혈압약을 투여하도록 권고하게 된 것일 수 있습니다.

 

 

  ※제 7차 미국 고혈압 합동위원회(JNC-7)의 지침
고혈압전단계 (120-139/80-89 mmHg)
에서는 약물 치료보다는 생활습관개선요법을 권하고 있는 점은 다른 고혈압 치료지침과 같다.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 및 당뇨나 신장 질환의 유무를 검사하여야 하며, 당뇨나 신장질환이 있다면 130/85mmHg 이상에서 우선적으로 약물치료의 대상이 된다.

제1기 고혈압에서는 (140-159/90-99 mmHg) 심혈관계 위험인자 및 표적장기 손상 여부 등을 평가하여야하나 이들 결과와는 상관없이 강제 적응증이 있으면 해당 약제 또는 강제 적응증이 없으면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차단제,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ARB), 베타 차단제, 칼슘길항제 이뇨제중 하나의 약제를 사용하나 이뇨제를 일차약으로 권고하고 있다.

제2기 고혈압에서는 ( >160/100 mmHg) 에서는 처음부터 2가지 이상의 약제를 사용하여 혈압을 조절하고 이중 한 가지는 이뇨제를 포함한 병합요법을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JNC-7은 고혈압 분류의 단순화, 이뇨제 사용의 강조, 그리고 병합요법을 강조하고 있다.


※유럽고혈압학회(ESH)의 지침
고혈압 환자에 있어서 동반된 위험인자, 표적장기손상 여부, 당뇨병 여부, 동반된 질환 등 환자의 예후에 관련된 인자들을 정의하고, 각 고혈압 단계별로 이러한 인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평균 위험군, 저위험군, 중등도 위험군, 고위험군, 및 최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각 위험군에 따라 치료 방침을 제시하고 있다 (Table 1, 2) (Figure 1).

1) 높은 정상(high normal)(130-139/85-89 mmHg)인 경우
가) 첫 단계로 고혈압의 예후를 판단할 수 있는 동반된 위험인자, 표적장기손상 여부, 당뇨병 여부, 동반된 질환 등을
      따져 본다.
나) 다음 단계로 생활습관개선 요법을 실시하면서, 동반된 위험 인자의 치료 또는 제거에 주력한다.
다) 마지막으로 위험군 분류를 통하여

최고위험군과 고위험군은 약물 치료를 시작하고,
중등도 위험군은 규칙적인 혈압 측정으로 추적 검사하며,
저위험군은 생활습관개선요법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기를 권유하고 있다.


2) 제2기 고혈압(140-179/90-109 mmHg)인 경우
위험인자 검토, 위험군 분류 후에

최고위험군과 고위험군은 즉시 약물 치료를 시행하고,
중등도 위험군은 위험인자의 제거, 및 생활습관개선 요법을 3개월간 시행 한 후 혈압이 140/90 mmHg 이상이면 약물 치료를 권한다.
저위험군에서는 같은 방법으로 생활요법을 3-12 개월간 시행한 후에, 역시 혈압이 140/90 mmHg 이상이면 약물요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한다.


3) 제3기 고혈압(180/110 mmHg 이상)인 경우
위험군 분류에 관계 없이 약물 요법을 권하고 있다(Figure).


ESH 지침은 JNC-7에 비하여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으나, 고혈압의 예후는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의 정도에 비례할 뿐만 아니라, 동반된 위험인자, 표적장기손상 여부, 당뇨병 여부, 동반된 질환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생각할 때, ESH 지침이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JNC-7에서 치료지침을 단순화한 이유는 아무리 좋은 치료지침이라 하더라도 임상에서 실제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합리적인 면 보다는 실용적인 면에서 접근한 치료지침이며 고혈압을 조절하는 입장에서 이것만은 지켜주었으면 하는 생각이다.
↑자료주소 = http://www.hypertension.or.kr/expert/ex_knowledge/viewbody.php?code=know&number=70
 

 

그러나 옛날에는 고혈압을 약초로 치료 했습니다.

그 기록이 지금 남아 있습니다.

고혈압에 좋다는 약초들 여러 가지입니다.

고혈압에 좋다는 음식도 상당히 많습니다.

지금도 고혈압을 치료하는 한의원들이 더러 있습니다.

고혈압을 검색해 보면 고혈압에 링크광고를 하고 있는 한의원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저도 약초를 달여 먹고 고혈압이 치료 되었습니다.

제가 혈압약을 복용하기 시작한 것은 고혈압 때문에 머리가 아파 견딜 수가 없어서 혈압약을 먹기 시작 하였습니다. 그러나 혈압약 복용을 중단한지 70일 이 되는 지금 머리도 아프지 않고 혈압도 정상입니다. 분명히 혈압약을 먹지 않고 치료 되었습니다.

 

제가 혈압약을 계속 먹었다면 지금현재 정상혈압이 아닐 것입니다.

혈압약을 복용하면서 조절하는 목표혈압은 140/90mmhg미만입니다.

혈압약을 복용해도 160/100미만으로 조절되지 않으면 더 강한 약으로 투여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혈압약을 장기간 복용하시는 분의 혈압은

대부분 160/100mmhg 근처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혈압약을 먹고 있지만 고혈압합병증의위험이 매우 높은 실정입니다.

믿기 어려우십니까? 혈압계를 구입하여 혈압을 측정해 보십시오.

 

그러나 저의 오늘의 평균 혈압은 125/82mmhg입니다.

혈압약을 복용하는 분들보다 훨씬 낮은 수치입니다.

고혈압 합병증 위험이 별로 없습니다.

 

그러므로 고혈압 약을 복용하고계시는 여러분 고혈압 치료를 병원에 맡기지 말고 혈압계 부터 구입하십시오. 돈이 아까우십니까? 인터넷 쇼핑몰에서 50,000원이면 구입합니다.

 

그리고 평생 혈압약을 먹으려 하지 마시고 식습관 개선을 통하여 고혈압을 치료 하십시오.

 

유럽 고혈압학회의 지침에는 ‘제2기 고혈압(140-179/90-109 mmHg)인 경우

저위험군에서는 생활요법을 3-12 개월간 시행한 후에, 역시 혈압이 140/90 mmHg 이상이면 약물요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한다.‘ 고 제안하고 있습니다. 즉 179/109mmHg 이하인 경우 1년 동안 생활요법을 하라고 한다는 겁니다.

 

아마 대부분의 한국 국민은 이정도의 혈압이면 당장 혈압약을 먹어야 한다고 생각할 겁니다.

  그러나 유럽고혈압학회의 제안을 믿고 생활요법으로 고혈압을 치료 하십시오.

  그것이 당신이 고혈압을 이길 수 있는 길입니다.

 

 

 

 

 ▣  어느 연세 많으신 어머니의 이야기

 

우리 몸에는 자연치유력이 있습니다. 

  몸이 아프다가도 하루 이틀 쉬면 아프지 않는것은 자연치유력이 몸을 치료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리 몸은 건강에 필요한 음식이 무엇인지 시각, 후각을 통하여 알아차리고 음식이 보이거나 냄새가 나면 그것을 먹고 싶어 하도록 자극합니다.  그리하여 우리몸을 치료 합니다.

 

라디오에서 들은 이야기입니다.

식사도 제대로 하지 않고 자녀들을 위해 시장에서 장사를 하던 연세 많으신 어머님이 암에 걸렸습니다. 병원에서 진찰한 결과 말기 암이어서 손을 쓸 방법이 없다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마지막 여생을 잘 보내 드리는 것이 어머님을 위한 마지막 효도라고 의사는 제안 했습니다.

어머니를 모시고 병원에 갔던 딸은 어머니에게 마지막 효도를 한다는 의미로 어머니와 여행을 하였습니다.

바닷가를 거닐던 어머니는 음식점에서 생선 굽는 냄새를 맡으시곤 그 생선을 먹고 싶다고 하셨답니다. 그래서 생선을 사 드렸는데 어머님이 그 생선을 너무 맛있게 잡수셔서 자기 몫도 드리고 2인분을 더 시켜서 어머님께 드렸답니다. 어머님은 4인분 생선을 다 드시곤 ‘이제는 살 것 같다’라고 말씀하셨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어머님은 그날부터 조금씩 기운을 차리더니 얼마 후에는 건강해 지셨답니다. 병원에 가서 진찰 해 보니 날로 자라기만 하던 암 세포가 많이 약화 되어 치료하지 않아도 저절로 없어질 것 같다는 진단을 받으셨답니다. 그 후로 그 어머니는 건강하게 오래 살았다는 겁니다.

 

 

다 아시는 것처럼 병원 약을 먹고 있으면 입맛도 없고 먹고 싶은 것도 별로 느끼지 못합니다. 약을 먹고 있으면 우리 몸이 건강을 위하여 무엇을 먹고 싶어 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고혈압환자가 혈압 약을 먹고 있으면 고혈압에 좋은 음식이 당기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 음식을 먹는다 하여도 고혈압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고혈압 치료는 혈압약이 하고 있기 때문에 신경을 쓰지 않게 되는 겁니다.

그러므로 혈압 약을 먹으면서 생활치료 하는 것은 혈압 치료에는 큰 의미는 없다는 겁니다.

 

그러나 혈압 이외에 다른 부면 즉 간, 위장, 폐, 신장 등의 건강에는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아가위즙(汁)에 사용된 재료  

 

산사자(아가위) 


 고혈압이나 관상동맥경화로 인한 심장병에는 산사 열매 말린 것 35~50g을 진하게 달여서 하루 3~4번 나누어 마신다.
산사 열매에는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류의 흐름을 좋게 하는 작용이 있어 혈압을 완만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낮춘다. 특히 핏속의 지방질을 없애는 효력이 크므로 동물성 지방질을 많이 먹어서 생긴 고혈압과 심장질환에 효과가 크다. 
아가위는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은 시고 달다. 음식을 잘 소화되게 하고 혈압을 낮춘다. 삶아서 즙을 마시면 설사를 멎게 한다. 또 옻이 오른 데에도 효과가 있다.
<본초강목>에 있는 아가위의 약리작용은 다음과 같다.
"아가위는 음식을 소화시키고 육적(고기에 체한 것)과 담음(늑막염), 함산(위산과다), 체혈통(어혈)을 없앤다. 두통을 없애고, 뿌리는 적취를 다스리고 반위(구토)를 치료한다. 오래된 것일수록 좋은데 쪄서 시를 버리고 말려서 쓴다."

아가위는 심장부정맥이나 심근염 등 심장병에도 효과가 있다. 아가위는 핏속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작용이 뚜렷하다.
소화불량을 고치는 약으로도 이름이 높고, 생선이나 고기를 삶을 때 아가위를 넣으면 고기살이 부드러워질 뿐 아니라 해독작용이 있어 중독을 미리 막을 수 있다.
특히 육류를 많이 먹어서 체했거나 소화가 안 될 때, 속이 더부룩할 때 효과가 좋다.

산사에는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가 들어 있는데, 이 효소가 소화액을 잘 나오게 한다.


↑자료주소(겨레사랑생활건강회) = http://www.ulnara.or.kr/fr.php?c=fr&step=3&code=fr05&id2=45&id3=208

 

 

팔팔즙(汁)에 사용된 재료들


① 삼백초

삼백초는 약리작용이 놀랍도록 다양하고 뛰어나다. 변비, 당뇨병, 간장병, 암, 고혈압, 심장병, 부인병, 신장병 등 갖가지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 주목할 만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된 효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변비와 숙변을 없애는데 효과가 탁월하다. 숙변은 두통, 고혈압, 간장병 등 만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삼백초에 들어 있는 쿠에르치트린, 이소쿠에르치트린, 프라보노이드 등의 성분이 변통을 좋게하는 작용을 한다. .
고혈압, 동맥경화 치료와 예방에 효과가 크다. 고혈압, 동맥경화는 심장병, 중풍, 뇌졸중 등의 원인이 된다. 삼백초를 차로해서 늘 마시면 모세혈관이 튼튼하게 되고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진다.
갖가지 부인병에 효과가 있다. 냉 대하, 자궁염, 생리불순, 자궁탈출 등을 치료한다. 자궁이 아래로 처져 고생하던 부인이 삼백초 뿌리를 달인 물로 찹쌀밥을 지어 먹고 나았다는 임상결과가 나와 있고 그 밖의 갖가지 여성질환에도 큰 효험을 보았다는 기록이 있다. 

삼백초로 난치병을 치료한 사례가 많다. 고질적인 두통, 고혈압, 만성변비, 기관지염, 악성무좀, 심장병, 비만증, 중풍으로 인한 보행 및 언어장애, 악성 여드름, 만성피로, 습진, 피부병, 화상 등이 삼백초를 먹거나 짓찧어 붙이는 방법으로 나았다는 기록이 있고 정력이 좋아졌다는 보고도 있다

 

자료주소(겨레사랑 생활건강회) = http://www.ulnara.or.kr/fr.php?c=fr&step=3&id=&id2=38&id3=192&code=fr05

 

② 익모초 
  꽃 피기 전인 5~6월에 줄기를 베어 그늘에서 말려 약으로 쓴다 여성들의 여러 병에 매우 좋은 약으로 이름 높은데, 특히 산전 산후에 부인들의 보약으로 널리 쓴다.
자궁 수축작용, 지혈작용, 혈압 낮춤 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 항암작용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어서 웬만한 질병에는 거의 다 쓸 수 있다. 고혈압, 협심증, 심근염, 신경쇠약에도 좋고, 부인들의 월경과다, 산후출혈, 생리통, 생리불순, 산후에 배가 아플 때 산전 산후의 허약증 등에 널리 쓴다. 익모초는 여성의 생리를 조절하는 데 매우 좋은 약이다.
익모초 15~30g을 달여서 차대신 수시로 마시면 고혈압, 동맥경화에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자료 주소(겨레사랑생활건강회) =  http://www.ulnara.or.kr/fr.php?c=fr&step=3&code=fr05&id2=37&id3=178

 

 

③ 당귀 
 당귀는 피를 맑게 해 심장병에 아주 좋은 약재이다. 승검초 뿌리인 당귀는, 비타민 B12와 엽산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혈액을 보충해 주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약재이다. 피가 잘 안 통해서 혈전이 될 때, 그로 인해 협심증 이 있을 때, 당귀를 끓여서 차처럼 꾸준히 마시면 그 인내의 결실은 반드시 돌아온다.
↑자료주소(샘나건강정보) = http://www.samna.co.kr/abcd/koa57.htm

 

 

④ 칡(갈근) 
 ▶고혈압이나 협심증이 있는 사람은 가을에 칡 뿌리를 캐서 잘게 썰어 그늘에서 말려서 하루 100g에 물 반 되를 붓고 절반이 되게 달여서 그 물을 조금씩 수시로 마신다. 오래 복용하면 심장이 튼튼해지고 혈압이 안정된다.   칡은 이것 한가지만으로도 당뇨병, 부종, 설사, 황달, 술독, 고혈압, 두통, 협심증 등에 좋은 효험을 보일 때가 많다. 
▶당뇨병에는 칡 뿌리 120g에 물 반 되 (900ml)를 붓고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약한 불로 달여서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마신다. 오래 복용하면 상당한 효험이 있다. 
↑자료주소(겨레사랑생활건강회) = http://www.ulnara.or.kr/fr.php?c=fr&step=3&code=fr05&id2=45&id3=218

 

 

⑤ 가시오가피
학자들의 연구 발표를 보면 가시오갈피의 효능은 놀랍다.  가시오갈피 뿌리를 짜낸 즙은 방사능을 비롯한 갖가지 화학물질의 독을 풀어 주고,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을 낮추며, 혈당치를 낮추고, 신경장애를 치료할 뿐만 아니라, 지구력과 집중력을 키워주고, 뇌의 피로를 풀어주며,  고혈압, 저혈압 환자가 다 같이 정상으로 되었으며, 당뇨병 환자는 혈당치가 현저하게 내려갔고, 신경쇠약, 우울증, 불면증 환자들이 안정을 찾았다.
↑자료주소(겨레사랑생활건강회) = http://www.ulnara.or.kr/fr.php?c=fr&step=3&id=&id2=36&id3=156&code=fr05

 

 

⑥천궁
천궁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천궁의 원산지는 중국 사천성 지방으로서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 생 식물로 뿌리는 토란과 비슷하며 한약의 특수 향기 냄새는 바로 이 천궁에서 난다.  늦가을에 서리가 내린 다음 뿌리를 캐서 줄기를 버리고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심포경, 간경, 담경, 삼초경에 작용한다.  혈을 잘 돌게 하고 월경을 고르게 하며 풍을 없애고 통증을 멈춘다.   관상 동맥 질환으로 인한 흉부동통에 신효하며,  타박상으로 인한 어혈이 정체된 것을 풀어 주는 동시에 통증을 제거한다. 
   진통, 진정 작용이 강하다.  항궤양 작용, 혈압 강하 작용, 항균 작용이 있다.  정유 성분은 중추신경계통에 대하여 소량에서는 흥분적으로, 다량에서는 억제적으로 작용한다.  풍한두통, 무월경, 월경부조, 월경통, 산후복통, 협통, 힘줄이 땅기는 데, 고혈압병, 옹종 등에 쓴다. 

하루 6~12그램을 탕약, 산제, 환약 형태로 먹는다.
자료주소 (한글동의보감) = http://hidream.or.kr/bbs/view.php?id=dongeuibogam&no=6481

 


⑦뽕잎
 뽕잎은 혈압을 낮추어 주는 것 외에 혈관 안에 있는 지방 덩어리인 고지혈증과 혈관 벽의 동맥경화를 막아 주고 치료하며, 혈액의 흐름을 좋게 하여 혈관을 튼튼하게 하고 혈압을 안정시켜 주며 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혈압을 낮추어 준다.
용해 혈전이란 혈액이 끈적끈적하게 더러워져서 막힌 것이다. 혈전은 혈관벽에 덕지덕지 달라붙어서 혈액이 순조롭게 흐르지 못하게 하고 심하면 혈관을 막아 버린다. 혈전이 계속해서 쌓이면 동맥벽의 탄력이 줄어들어 동맥경화증이 생긴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 경화증은 흔히 돌연사의 원인이 된다. 관상동맥 경화로 인한 협심증으로 가슴을 찢는 듯한 통증에 시달리다가 목숨을 잃게 되는데, 이것이 뇌혈관에서 생기면 뇌졸중으로 반신불수가 되거나 목숨을 잃게 된다. 흰쥐를 인공적으로 동맥경화증을 일으키고 동맥을 염색해 보면 검은 색의 띠가 나타난다. 이런 쥐한테 뽕잎을 농축하여 먹이면 띠는 흔적만 남고 사라져 버린다. 뽕잎은 동맥경화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자료주소(한글동의보감) = http://hidream.or.kr/bbs/view.php?id=dongeuibogam&no=4557  

 

 

⑧ 두충
고혈압, 저혈압, 중풍, 생리불순, 위궤양, 원발성좌골신경통, 골다공증, 간경화, 간장염, 기관지천식, 신장염, 전신마비, 척수디스크, 신경성골수염, 결핵성골수염, 담석증, 신석증, 간질, 변비, 독극물중독, 두통, 성장촉진, 요통, 당뇨병, 간장질환, 신장병, 신경통, 위장병, 디스크, 관절염, 간신허약, 보신강장, 노화방지, 견근골, 피부청결(기미, 주근깨, 검버섯), 부부생활이 과도해서 허리가 아픈데, 중병을 앓고 난뒤 몸이 허약해서 식은땀만 줄줄 흘리는데, 늑막염, 안태, 항노화, 진정 진통 항균 작용, 면역력 조절, 항알레르기, 비만증, 자궁수축작용, 혈청콜레스테롤치 강하, 관상동맥 혈류량증가, 항암(간암, 위암, 골육류, 간신부족의 암), 하지근육경련에 효험
두충나무 껍질은 고혈압을 비롯한 여러 가지 질병에 치료 효과가 좋은 약재일 뿐만 아니라 나무는 벌레도 먹지 않아 질이 좋으므로 가구재로 중요하게 쓰인다.
↑자료주소(한글동의보감) = http://hidream.or.kr/bbs/view.php?id=dongeuibogam&no=6178

 

 *************************************************************************************************************

 

 

 

고혈압에 좋은 음식  ◎감식초

 

감식초는 지방이 합성되는 것을 억제하고 체내의 과다한 지방을 분해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감식초를 장복하면 과다한 지방이 원인인 각종 성인병과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
감의 약성은 비타민C와 탄닌산으로부터 온다. 비타민C는 인체 세포조직을 튼튼하게 해주는 콜라겐(Collagen) 합성에 관여하여 괴혈병을 방지하므로 인체의 면역성을 강화시켜 준다. 탄닌산은 점막표면조직의 수렴작용을 통해 배탈과 설사를 멎게 하며 인체조직의 출혈을 억제한다.

그러므로 감은 고혈압, 심장병 등 혈관계, 순환계 질병에 효과가 있고 폐결핵, 기관지 확장, 폐종양을 비롯한 각종 종양, 자궁출혈, 치질 등의 치료와 예방에 유효하다.

감식초는 하루 2∼3회 소주잔으로 반잔씩 그냥 마신다.
갈증이 심할 때나 변비가 있을 때는 생수나 꿀물, 과일즙 등에 타서 마시는 것도 효과가 있다.


↑자료주소(겨레사랑생활건강회) = http://www.ulnara.or.kr/fr.php?c=fr&step=3&code=fr02&id2=15&id3=104

 

 

 

 

고혈압에 좋은 음식  ⊙ 다시마

 

다시마를 손바닥 크기만큼 잘라서 하룻밤 동안 따뜻한 물에 담궈 두면 염분이 빠진다.
이것을 건져 마른 수건으로 싸서 물기를 제거하고 프라이팬에에서 적당히 구워 거칠게 가루내어 식탁 위에 항상 올려놓고 음식에 뿌려서 먹고 각종 조리에 활용토록 한다.
또는 가루내어 한번에 3g씩 하루 3번 먹어주어도 좋다.
다시마 속의 라미나린 성분은 혈압을 낮추고 피 속의 콜레스테롤이 핏줄에 흡착하는 것을 막는다.
그러므로 고혈압병의 예방과 치료에 좋은 효험을 보인다.


 ↑자료주소(겨레사랑생활건강회) = http://www.ulnara.or.kr/fr.php?c=fr&step=3&code=fr02&id2=15&id3=104

 

 

 

고혈압에 좋은 음식  ⊙ 감자생즙


고혈압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매일 감자생즙을 꾸준히 먹어주면 뛰어난 효험을 본다.
위장계통의 질환이나 당뇨병 환자에게도 매우 효과적인 식품건강법이다.

감자는 안정된 비타민C가 풍부한 식품이다. 비타민C는 열에 약하고 물에 녹기 쉬운데 감자에 들어있는 비타민C는 열을 가하면 녹말질이 막을 만들어 보호하므로 조리 후에도 비타민C가 파괴되지 않는다.
또 과일에 들어있는 비타민C는 수확 뒤에는 급속히 줄어드는데 감자에 들어있는 비타민C는 보관 중에도 별로 줄어들지 않는다.

감자에는 또 칼륨도 많아서 요즘과 같이 가공식품이나 인스턴트식품을 섭취함으로써 몸 속에 과잉되기 쉬운 나트륨의 체내 잔유를 배출하여 적정선을 유지하도록 하는작용이 있는데, 이것은 현대인의 건강을 지키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작용이라고 하겠다.

6개월만 복용하면 본인이 그 효과를 실감하게 된다.

[감자생즙 만드는 법]
① 감자는 큰것이면 2~3개, 중간 것이면 3~4개를 준비한다.
② 새순과 껍질의 푸른 부분은 잘라버린다.
③ 껍질채 강판에 갈아 약수건으로 짜서 즙을 낸다.
④ 녹즙기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한 번에 한 컵 정도의 생즙을 마셔주면 된다.

[복용법]
이 생즙을 날마다 식사 30~60분 전, 공복 때 마셔주되, 생즙을 냈으면 곧 마셔야 하고 날마다 꾸준히 계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 시중에서 판매되는 효소나 사과즙이나 벌꿀을 조금 타서 마셔도 좋다.
그리고 짜낸 감자찌꺼기는 떡을 만들어 찌거나 후라이팬에 참기름을 발라
구우면 맛있는 간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자료주소(겨레사랑생활건강회) = http://ulnara.or.kr/sub/view.php?c=fr&code=fr02&id=55&step=3&sc=11&t

 

 

 

고혈압에 좋은 음식  ◎'당근 초절임'

 

당근 초절임이 고혈압, 당뇨병, 노안, 백내장, 흰머리카락, 성근머라카락 등 여러 가지 병의 치료와 회복에 좋다. 

식초는 소화기의 전반 상태를 조절하고 혈압과 콜레스테롤의 값을 낮추며 심한 피로도 곧바로 회복시켜주고 간기능을 높이며 그밖에 살균 및 지혈작용을 한다. 
당근도 혈압을 정상화 하고 콜레스테롤 값을 낮추며 내분비계통을 조절하여 생리적 기능을 원활하게 해 주고 면역계통을 강화하며 혈액순환을 도와 불필요한 지방을 제거하고 정신을 안정시켜 주는 등 건강과 병치료 및 예방에 좋은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것은 당근에 활성산소의 나쁜 작용을 억제하며 몸 안에 들어 가서느 ㄴ비타민A로 전환되는 베타카로틴, 호박산칼륨, 식물섬유, 비타민C, E, B무리, 칼슘 등이 균형적으로 들어있기 때문이다.

당근을 날것으로 많이 먹으면 오히려 위장 기능이 약화될 수 있고 특히틑 당근에 비타민 C를 파괴하는 아스코르비나제가 들어 있어 해롭지만 초절임 하면 식초가 아스코르비나제를 억제하는데다가 식초와 당근의 좋은 성분들이 상호 작용하면서 효능이 더 좋아진다.

 

당근을 초절임 하려면 곱게 생긴 당근을 잘 씻어 껍질을 벗긴 다음 양끝을 잘라 버리고 한입에 넣기 좋은 크기로 썬다. 그것을 아구리가 넓고 물기가 없는 깨끗한 병에 넣고 당근이 잠길 때까지 자연발효식초를 부은 다음 뚜껑을 덮어 1주일 정도 냉장고에 넣어 두었다가 아침 저녁에 2~3개씩 먹으면 된다. (또는 식사할 때 반찬으로 먹어도 좋다.)
초 절임을 할 때 꿀이나 후추가루, 고추 등을 기호에 맞게 넣을 수도 있다. 

 

 

하룻밤 동안 절였다가 다음날 아침부터 먹는 방법도 있는 데 그렇게 하려면 당근 200G을 잘 씻어 잘게 썬 다음 소금3g정도를 넣고 버무려서 유리그릇에 넣는 다  거기에 설탕5g과 30ml 물 65ml로 만든 조미액을 붓고 가볍게 저어서 하룻밤 재우면 된다.


↑자료 주소(한글동의보감) = http://hidream.or.kr/bbs/view.php?id=dongeuibogam&no=6167


 

고혈압에 좋은 음식  ⊙ 양파피클

 

양파는 약용효과가 다양한 알칼리성 식품이다. 양파의 특징인 독특한 냄새는 치오알데이드라는 숙황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톡 쏘는 매운 휘발성분은 연수를 자극하여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준다. 양파 껍질에 있는  프라노이드라는 성분은 혈관 강화의 작용이 있다. 마늘이나 파도 이와 비슷한 성분이 있다. 황갈색 겉껍질 속에 있는 구엘친이라는 색소는 뇌의 모세혈관을 강화하는 작용이 있어 고혈압, 동맥경화, 혈전 등의 예방에 좋다.
양파피클 ; 당뇨나 고혈압, 심장병 뿐 아니라 백발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오래된 변비도 신진대사의 원활화로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먹는 법 = 매일 잠자기 전에 양파 피클 10조각 정도와 식초 국물을 함께 먹는다. (식사 때에 반찬 대용으로 먹어도 좋다.) 딱히 아픈 곳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도 예방적인 건강유지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만드는 법
재료 ; 양파 큰 것 1개, 식초 7큰술, 벌꿀 2큰술, 빈병
① 양파의 껍질을 벗기고 꼬리와 머리를 제거 후 4조각으로 잘라 둔다. 이때 크기를 맞추어 크게 썬다.
② 빈 병에 식초, 벌꿀, 소금을 넣고 잘 섞는다. 절이는 즙의 양은 기호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③ ②의 병에 양파를 넣는다. 위에서 누르듯이 넣는다. 즙의 양은 양파의 1/3정도로 충분하다.
④ 뚜껑을 닫고 흔들어 양파전체가 충분히 스밀 수 있도록 한다.  양파가 부드럽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⑤ 담근 후 2~3일 정도는 가끔씩 뒤섞어 준다. 식초 즙이 올라와서 양파가 푹 잠기게 된다. 뚜껑이 꽉 닫힌 병이라면 가끔씩 거꾸로 뒤집어 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주의사항
① 양파피클을 만들 때 수분이 들어가지 않도록 양파와 병의 수분을 잘 제거해야 한다.
② 만드는 동안에 점차로 수분이 생기므로 식초국물은 다소 적다고 생각될 정도로 맞추면 된다.
③ 식초 국물도 맛있으므로 마셔도 좋지만 남은 경우는 다음에 담글 때 새 식초와 함께 넣으면 맛이 부드러워져서 먹기가 더 좋다.

 

↑자료주(겨레사랑생활건강회)소 = http://ulnara.or.kr/sub/view.php?c=fr&code=fr02&id=54&step=3&sc=10&t

 

 


고혈압에 좋은 음식  ⊙ 땅콩초절임


 고혈압, 요통, 무릎통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
땅콩만으로도 혈압을 내리는 작용이 있으나 식초의 혈압강하 효과가 더해져서 효과가 증진된다.
또한 식초는 땅콩의 영양분을 더 잘 흡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땅콩 초절임을 상식하면 뼈와 근육이 튼튼해져서 요통과 무릎관절통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고혈압 개선을 위하여 매일 밤 10알씩 먹는다. 2개월 정도 먹으면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위가 약한 사람은 식후에 먹는 것이 좋다. 개선효과를 보는 시간은 빠르면 1개월, 늦는 사람은 4개월 이상이 걸리기도 한다.


[만드는 법]
▶땅콩은 속껍질 째 준비해서 입구 넓은 병에 넣는다.
▶땅콩이 잠길 정도로 식초를 붓고 뚜껑을 덮은 다음 냉암소(가능한 한 냉장고)에 보관하여 약 1주일이 지나면 초절임 완성된다.
▶땅콩 초절임은 위생에 신경을 써서 냉장고에 넣어 두면 보통 2개월 정도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식초가 탁해지면 새로운 식초로 교환해 주어야 한다.


↑자료주소(겨레사랑생활건강회) = http://www.ulnara.or.kr/fr.php?c=fr&step=3&code=fr02&id2=15&id3=104

 

"국민고혈압사업단"의 혈압약에 대한 정보를 올립니다.  참고하십시오.

 

 

 

 

이뇨제는 수분과 염분을 신장을 통해서 체외로 배설하는 것을 촉진하는 약입니다. 순환혈장의 양을 줄여서 혈압을 낮추나 혈장량은 그 후 회복되므로 그 이후의 혈압강하의 기전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혈류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이뇨제는 고혈압 1기에 처음 약물 선택에 사용됩니다. 노인과 염분에 대한 조절이 더 필요한 경우에 높은 효과를 보입니다.

고혈압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 단독으로 쓰입니다. 순환 혈장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다른 고혈압 치료제에 보조적으로 같이 쓰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뇨제 사용시 주의사항은 소금을 제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염분저하는 약물의 효과를 돕고 부작용보다 줄여줍니다.

분 류
특 성
싸이아자이드
(thiazide) 계열

가장 널리 쓰이는 이뇨제

  • bendroflumethiazide(naturetin)
  • chlorothazide(diuril)
  • chlorthalidone(hygroton, thalitone)
  • hydrochlorothiazide(esidrix, hydrodiuril, microzide, oretic)
  • Indapamide(lozol)
  • Methyclothiazide(aquatensen, enduron)
  • Metolazone(diulo, mykrox, zaroxolyn)
루프 이뇨제
(loop diuretics)

이뇨효과가 매우 강력하고 신장기능이 저하되어도 효과를 발휘하므로 심장 기능저하 환자나 신장 기능저하 환자의 고혈압 치료에 또는 심부전이나 신부전 환자의 고혈압 치료에 중요한 약제입니다.

  • Bumetanide(bumex)
  • Ethacrynic acid(edecrin)
  • Furosemide(lasix)
  • Torsemide(torem)
칼륨 보존성 이뇨제
(potassium- sparing agent)

혈액으로 부터 염분을 제거해 주며, 이뇨 효과 외에 thiazide 나 loop diuretics 등 다른 이뇨제에 의한 요중 칼륨 손실을 막기 위하여 흔히 함께 처방됩니다.

  • Amiloride(midamor)
  • Spironolactone(aldactone)
  • Triamterene(dyrenium)




이뇨제의 부작용으로 소변량의 증가를 보입니다.
특히 thiazide 계열과 루프 이뇨제는 칼륨 소실을 야기합니다. 이 두가지는 칼륨 보존성 이뇨제와 복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노년층, 싸이아자이드 (thiazide)계열 이뇨제는 쇠약감이나 일어설 때 어지러움증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 약은 또한 비록 드물지만 몇 몇 남성에게 성생활 문제를 야기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약을 끊으면 사라집니다. 하지만 의사의 처방에 따른 충고와 가이드를 받아야 합니다.

부가적으로 고용량의 싸이아자이드 (thiazide)계열 이뇨제는 혈당과 총콜레스테롤 수치를 서서히 증가시켜 줍니다. 또한 요산의 증가를 보입니다. 또한 요산의 증가를 보입니다. 드물게는 요산 증가로 인해 관절 부위 통풍장애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루프 이뇨제는 때때로 탈수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칼륨 보존성 이뇨제는 칼륨 수치를 높이 올릴 수 있습니다. 만약, 당신이 심각한 신장질환을 가지고 있다면 칼륨 보존성 이뇨제 사용에 유의해야 합니다. 이유는 혈중 칼륨의 농도 증가로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고 지나친 칼륨으로부터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생화학적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나 대부분 심하지 않으며 임상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칼슘 길항제는 혈관과 심장의 세포막의 칼슘 채널 (calcium channel) 에 작용하여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춥니다. 이러한 혈관에 대한 작용 외에 심장에 작용하여 심장의 수축력을 억제하고 박동수를 낮추는 작용도 있습니다.


반감기 짧은 타입 : 이 약물은 급속도로 혈압을 낮추는데 있습니다. 하지만 단지 몇 시간 동안만 그 효과를 지닙니다. 반감기가 짧은 칼슘 길항제는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다만 혈압 조절이 잘 되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반감기가 느린 타입 : 이 약물은 몸에 서서히 흡수됩니다. 무작위 실험 연구한 결과 반감기가 느린 칼슘 길항제는 안정성과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분 류
종 류
nifedipine 계열

종류 : amlodipine(norvasc), Felodipine(plendil), Nifedipine(adalat, procardia)

nifedipine 은 반감기가 짧으며 (반감기가 긴 제형도 있습니다) 하루 세 번 정도 자주 복용할 필요가 있으나 혈압을 급히 낮출 필요가 있을 때 경구투여로 효과를 발휘하므로 유용하게 쓰이는 약입니다.

Verapamil계열

종류 : Verapamil(calan, isoptin)

혈관에 대한 작용은 적고 심장의 박동수 및 수축력을 억제하는 작용이 강한 약으로서 맥이 빠른 부정맥의 치료에 쓰입니다.

Diltiazem계열

종류 : Diltiazem(cardizem, herben)

verapamil 과 nifedipine 계열의 중간에 위치하는 약입니다. 심장 박동률을 느리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변비, 두통, 빠른 심장 박동, 발진, 발과 하지의 부종, 눈두덩이 부종 등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Felodipine, Nifedipine, Verapamil의 약물은 자몽주스와 같이 복용해서는 안됩니다. 약복용 2시간 전이나 약복용후 2시간이후에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ACE 억제제는 고혈압 치료를 위해 자주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약은 이뇨제와 함께 사용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ACE 억제제는 심장이나 혈관에 직접 작용하지는 않고, 레닌 - 안지오텐신 - 알도스테론 (renin - angiotensin - aldosterone) 이라는 인체에서 혈압을 올리고 염분과 수분을 축적시키는 시스템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약제입니다. 고혈압에서 심장과 신장에 대하여 보호작용이 있으며 또한 심부전에도 도움이 됩니다.


분 류
종 류
Sulphydryl 계열

Captopril(카포텐)

Carboxyl 계열
Enalapril(레니텍, 바소텍, 에나프린)
Quinapril(아쿠프릴)
ramipril(알테이스)
lisinopril(프리니빌, 제스트릴)
benazepril(로텐신, 시바쎈)
Phosphoryl 계열
Fosinopril(모노프릴)




ACE 억제제는 부작용이 거의 없으나, 약 20%의 사람에게서 마른 기침을 유발합니다. 이 경우는 남자보다 여자에게 흔히 나타납니다. 계속되는 기침으로 다른 약물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약 심각한 신장질환을 갖고 있다면 ACE 억제제 사용은 주의를 요합니다. 왜냐하면, 신부전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성의 경우 임신이나, 임신을 계획한다면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ACE 억제제의 사용은 사생아를 출산할 수 있습니다.


 


교감신경에는 혈관의 긴장상태나 심장의 박동 세기를 조절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이러한 신호는 신경들이 연결되는 장소인 시냅스에서 신경전도 물질에 의하여 전달되며 신경전도물질의 수용체 (receptor) 에는 alpha 와 beta 두 가지가 있습니다. 교감신경차단제는 이 alpha 나 beta 수용체 (receptor) 에 작용하여 신경전도물질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교감신경의 작용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약입니다.



beta 차단제 (beta blocker)
장점

혈압을 낮추는 작용 외에 급성심근경색증 등 관상동맥질환에서 심장을 보호하고 항부정맥 효과가 있는 등 심장에 좋은 작용이 많아 널리 쓰이게 된 혈압 강하제입니다.

종류
  • Acebutolol(sectral)
  • Atenolol(tenormin)
  • Betaxolol(kerlone)
  • Bisoprolol(zebeta)
  • carteolol(cartrol)
  • metoprolol(lopressor, toprol XL)
  • nadolol(visken)
  • propranolol(inderal, inderal LA)
  • timolol(blocadren)
부작용
beta 차단제는 다른 혈압약보다 부작용이 빈번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그 약을 최소량으로 사용합니다. 대부분 현저한 부작용으로 피로와 활발히 육체적인 운동을 할 능력이 감소됩니다. 냉한 손, 수면문제, 성문제, 성생활의 저조, 지혈증의 증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의 감소를 보입니다. beta 차단제는 호흡기계에서는 기관지를 수축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또는 기관지 확장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므로 천식 등 호흡기질환에서 beta 차단제를 사용하면 악화될 수 있습니다.또한 심장에 좋은 작용이 많으나 심장의 수축력과 박동수를 모두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심부전이 심한 경우에 사용하면 오히려 심부전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alpha 차단제
장점

혈압을 낮추는 작용 외에 전립선과 방광의 긴장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노인 등 전립선비대가 있는 고혈압 환자에 특히 좋은 약입니다. 그 외에 beta blocker 와 달리 심장에 대하여 억제적으로 작용하지 않아 육체적인 활동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장점과 혈청 지질을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이점 등이 있습니다.

종류
  • doxazosin(cardura)
  • prazosin(minipress)
  • terazosin (hytrin)
부작용
처음 이 약물을 복용하거나 오랫동안 먹어온 경우라면 어지러움을 느끼는데 서 있을 때 실제로 현기증을 야기합니다. 서 있거나 누웠다 서는 자세의 움직임은 혈압을 변화시킵니다. 이러한 문제를 감소하기 위해 이 약물은 처음부터 적은 용량으로 처방 되어지고 밤에 취침전에 복용하도록 지시해야 합니다.
약물이 적응된 후부터 처방에 따라 서서히 약물을 늘립니다. 다른 부작용으로 두통, 빈맥, 오심과 쇠약감이 있습니다.

alpha/beta 차단제
종류
  • Carvedilol(dilatrend)
  • Labetalol(trandate)

중추신경 약제
장점

중추신경계의 alpha 수용체를 차단하여 교감신경계 전체를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혈압을 낮추는 약입니다. 태아에 가장 안전한 혈압약으로 생각되므로 임신중의 고혈압 환자에 쓰입니다.

종류
  • clonidine(catapres)
  • guanabenz(wytensin)
  • guanadrel(hylorel)
  • guanethidine(ismelin)
  • guanfacine(tenex)
  • methyldopa(aldomet)
  • reserpine(serpasil)
부작용
이 약물은 극도의 피로감이나 진정작용을 야기합니다. 또한 성문제, 구갈(입이 마름), 두통, 체중 증가를 야기합니다. 우울증을 내포한 정서적인 문제 등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어떤 경우는 고위험 수준의 혈압을 증가시킬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을 끼치게 될 경우 의사와 상담하여 점차적으로 약물을 중단할 수 있게 도와 줄 것입니다.

직접 혈관확장제는 강력한 약물로 다른 약물에 잘 반응하지 않는 고혈압의 치료가 어려운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 약물들은 말초혈관에 직접 작용하여 혈압을 낮추는 약입니다. 아마도 단단하고 폭이 좁은 혈관벽의 근육에 작용하여 직접 혈관을 확장 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혈압이 떨어짐에 따라 반사적으로 체액이 축적되고 심장박동수가 증가하므로 이뇨제나 교감신경차단제를 같이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감기 짧은 타입 : 이 약물은 급속도로 혈압을 낮추는데 있습니다. 하지만 단지 몇 시간 동안만 그 효과를 지닙니다. 반감기가 짧은 칼슘 길항제는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다만 혈압조절이 잘 되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반감기가 느린 타입 : 이 약물은 몸에 서서히 흡수됩니다. 무작위 실험연구한 결과 반감기가 느린 칼슘 길항제는 안정성과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이 결과는 몇 해에 걸쳐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분 류
종 류
Hydralazine(apresoline)

현재는 많이 쓰이지 않습니다.

minoxidil(loniten)

이뇨제와 다른 고혈압치료제를 병용치료해도 무반응성인 고혈압, 이뇨제와 베타차단제 또는 기타 교감신경억제제와 병용치료해도 조절이 안되는 고혈압에 효능효과가 있습니다.




빠른 심장 박동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베타 차단제와 이뇨제와 함께 직접혈관 확장제를 처방하면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그 외 위장계 문제, 어지러움증, 두통, 코 충혈, 털이 많이 자람, 눈의 부종이 있습니다. 또한 Hydralazine은 루푸스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접촉성 질환을 유발합니다.

 

고혈압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치료를 일생동안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환자에 따라서는 고혈압치료를 해도 별로 신통한 것이 없고 치료를 중지해도 별로 나빠지지 않아 몇년 열심히 치료받다가 중지하여 건강을 잃기도 합니다.
고혈압 환자는 치료에 의해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함으로써 정상생활을 하고 자기수명을 다하는 데 목표를 두어야 합니다.



고혈압 환자는 치료 시작 후 혈압조절여부, 약 부작용, 치료 순응도 등을 알기 위하여 정기적인 진료가 필요합니다. 치료시작 후 얼마동안은 자주 진료를 받게 되나 일단 혈압이 조절되면 합병증이 없는 경증 고혈압환자는 3-6개월 마다 정기진료가 가능하며 합병증이나 동맥경화의 위험요소가 있는 환자들에게는 이보다 더 자주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고혈압의 진단, 합병증, 치료법, 치료목표 등에 대하여 환자의 가족이 교육을 받게되면 환자자신도 치료를 열심히 받도록 동기가 부여됩니다. 고혈압치료는 일생 계속하여야 하며 혈압이 조절되었다고 고혈압이 완치된 것이 아니므로 가족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현재 복용하고 있는 혈압강하제의 이름, 복용용량, 복용법 등을 알아야 하며 약의 부작용에 대하여도 알아야 합니다. 또한 진료시 혈압이 잘 조절되고 있는가,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는가, 앞으로의 치료계획은 어떠한가 등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나이가 아무리 많아도 고혈압치료는 해야됩니다. 최근의 연구를 통하여 고령자에서도 고혈압치료가 이득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치료가 과하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혈압이 너무 떨어지면 뇌로 가는 혈행이 나빠져 오히려 정신도 맑지 않고 몸이 휘청거리는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혈압약을 드시기 시작한다면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입니다.
고혈압 치료를 해서 몇 년 동안 잘 관리되어 왔다면 약을 줄이는 것도 가능합니다. 완전히 끊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의사의 지시 없이 마음대로 끊는 것은 현명하지 못한 일입니다. 의사와 상의한 다음 약을 끊었던 사람들은, 일년 후에 다시 조사해 보면 절반정도는 약 없이도 정상혈압이 유지됩니다.



혈압이 잘 안 떨어지거나 들쭉날쭉하면 다른 병들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또 '가성고혈압' 이라고 불리는 상태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가성고혈압이란 환자의 혈관이 딱딱해서 혈압이 정확히 재어지지 않는 상태입니다. 아무리 여러 가지 약을 써도 혈압이 떨어지지 않으면서 어지럽거나 기운이 없는 등 약물 부작용에 시달린다면 가성고혈압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치료 전 혈압이 180/115mmHg 이상이었던 환자가 적절한 치료에도 혈압이 160/100mmHg 이하로 조절이 되지않거나, 치료 전 혈압이 180/115mmHg 이하였던 환자가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정상혈압으로 조절이 되지 않으면 '치료 실패'라고 합니다.
고혈압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에도 약 5% 정도의 환자는 치료가 실패하는데 이들 환자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은 흔한 실패 원인들에 대하여 점검해야 합니다.


  1. 불규칙한 약 복용
  2. 혈압강하제의 용량부족이나 부작용
  3. 과다한 염분섭취, 과음
  4. 비만증
  5. 다른 약물의 복용 : 감기약, 교감신경흥분제, 피임약, 스테로이드제제 등
  6. 이차성 고혈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