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동 맞춤법 총정리 학생용]
혼동하기 쉬운 맞춤법과 표준어 입체화
< 맞춤법 규정 > 제 1 항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 표준어 규정 > 제 1 항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1) 소리로 인한 것
가. 된소리
(1) 일군(×)/일꾼(0), 빛갈(×)/빛깔(0), 뒷굼치(×)/뒤꿈치(0),
겸연적다(×)/겸연쩍다(0) - 맞춤법 규정 54 항
(2) ㄱ. 솟적새(×)/소쩍새(0)
ㄴ. 잔득(×)/잔뜩(0)
ㄷ. 깍뚜기(×)/깍두기(0) - 맞춤법 규정 5 항
(3) ㄱ. -(으)ㄹ꺼나(×)/-(으)ㄹ거나(0), -(으)ㄹ찐대(×)/-(으)ㄹ진대(0)
ㄴ. -(으)ㄹ가?(×)/ -(으)ㄹ까?(0) - 맞춤법 규정 53항
(4) 갈뜽(×)/갈등(0), 발쩐(×)/발전(0) - 표준 발음법 규정 26 항
(5) 꺼꾸로(×)/거꾸로(0), 꾿꾿하게(×)/꿋꿋하게(0), 쏘주(×)/소주(0) - 규정 없음
나. 거센 소리
(1) ㄱ.머리가락(×)/머리카락(0), 안밖(×)/안팎(0), 숫닭(×)/수탉(0), 숫병아리(×)/수평아리(0)
ㄴ.수퀑,숫꿩(×)/수꿩(0), 숫소(×)/수소(0), 숫놈(×)/수놈(0)
ㄷ.수양(×)/숫양(0), 수염소(×)/숫염소(0), 수쥐(×)/숫쥐(0)
- 맞춤법 규정 제 31항, 표준어 규정 제 7 항
(2) ㄱ. 간편ㅎ게(×)/간편케(0), 연구ㅎ도록(×)/연구토록(0), 흔ㅎ다(×)/흔타(0)
ㄴ. 아무러치(×)/아무렇지(0), 이러튼지(×)/이렇든지(0)
ㄷ. 넉넉치 않다(×)/넉넉지 않다(0)(넉넉하지 않다), 익숙치 않다(×)/익숙지 않다(0)(익숙하지 않다)
ㄹ. 결단ㅎ고(×)/결단코(0), 아뭏든(×)/아무튼(0), 하옇든(×)/ 하여튼(0) - 맞춤법 규정 40 항
(3) ㄱ. 끄나불(×)/끄나풀(0), 나발꽃(×)/나팔꽃(0), 빈 간(×)/빈 칸(0)
- 표준어 규정 제 3 항
ㄴ. 가을카리(×)/가을갈이(0), 푼침(×)/분침(0) - 표준어 규정 제 4 항
다. 역행동화(움라우트)
(1) ㄱ. 호랭이(×)/호랑이(0), 멕이(×)/먹이(0), 아지랭이(×)/아지랑이(0)
ㄴ. 신출나기(×)/신출내기(0), 남비(×)/냄비(0)
ㄷ. 미쟁이(×)/미장이(0), 땜쟁이(×)/땜장이(0)
ㄹ. 멋장이(×)/멋쟁이(0), 중매장이(x)/중매쟁이(0), 담장이덩굴(×)/담쟁이덩굴(0) - 표준어 규정 제 9 항
라. 두음(머릿소리) 법칙
(1) 녀자(×)/여자(女子)(0), 량심(×)/양심(良心)(0), 로인(×)/노인(老人)(0)
(2) 남여(×)/남녀(0), 개양(×)/개량(改良)(0), 연노(×)/연로(年老)(0)
(3) 이(×)/리(里)(0)(몇 리냐?), 이(×)/리(理)(0), 연/년(年)(몇 년)(0)
(4) ㄱ. 신녀성(×)/신여성(0), 역리용(×)/역이용(逆利用)(0), 열력학(×)/열역학(熱力學)(0), 상로인(×)/상노인(上老人)(0)
ㄴ. 한국녀자대학(×)/한국여자대학(0), 장미려관(×)/장미여관(0), ,신입(×)/신립(申砬)(0), 대한교연(×)/대한교련(대한교육연합회)(0)
ㄷ. 육백육십륙(×)/육백육십육(0)
(5) 나렬(×)/나열(0), 백분률(×)/백분율(0) - 맞춤법 규정 10, 11,12 항
2) 형태로 인한 것
가. 사잇소리와 합성어
(1) ㄱ. 나무가지(×)/나뭇가지(0), 아래집(×)/아랫집(0), 바다가(×)/바닷가(0)
ㄴ. 아래이(×)/아랫니(0), 이몸(×)/잇몸(0)
ㄷ. 뒤일(×)/뒷일(0), 나무잎(×)/나뭇잎(0)
(2) ㄱ. 전세집(×)/전셋집(0), 해수(×)/햇수(0)
ㄴ. 제사날(×)/제삿날(0), 퇴마루(×)/툇마루(0)
ㄷ. 예사일(×)/예삿일(0), 가외일(×)/가욋일(0)
(3) ㄱ. 고간(×)/곳간(庫間)(0), 세방(×)/셋방(貰房)(0), 수자(×)/숫자(數字)(0), 찻간(×)/찻간(車間)(0), 퇴간(×)/툇간(退間)(0), 회수(×)/횟수(回數)(0) - 맞춤법 규정 30 항
ㄴ. 칫과(×)/치과(0)
나. 어간과 어미의 구별
(1) 너머지다(×)/넘어지다(0), 드러가다(×)/들어가다(0)
(2) 들어나다(×)/드러나다(0), 살아지다(×)/사라지다(0), 쓸어지다(×)/쓰러지다(0) - 맞춤법 규정 15 항
다. 어근,어간과 접미사 구별
(1) ㄱ. 기리(×)/길이(0), 거름(×)/걸음(0), 노피(×)/높이(0), 이키(×)/익히(0)
ㄴ. 걸음(×)/거름(비료)(0), 놀음(×)/노름(도박)(0)
ㄷ. 귀먹어리(×)/귀머거리(0), 넘우(×)/너무(0), 붙어(×)/부터(0) - 맞춤법 규정 19항
(2) ㄱ. 낱나치(×)/낱낱이(0), 곰배파리(×)/곰배팔이(0)
ㄴ. 꼴악서니(×)/꼬락서니(0), 집웅(×)/지붕(0) - 맞춤법 규정 20항
(3) ㄱ. 갑지다(×)/값지다, 덥개(×)/덮개(0)
ㄴ. 넓다랗다(×)/널따랗다, 싫것(×)/실컷(0)
ㄷ. 넓치(×)/넙치(0) - 맞춤법 규정 21항
(4) ㄱ. 뚤리다(×)/뚫리다(0), 욷기다(×)/웃기다(0), 덥치다(×)덮치다(0)
ㄴ. 붙이다(×)/부치다(편지를-)(0), 일우다(×)/이루다(0)
ㄷ. 밉업다(×)/미덥다(0), 웃읍다(×)/우습다(0), 믿브다(×)/미쁘다(0) - 맞춤법 규정 22항
(5) ㄱ. 깔쭈기(×)/깔쭉이(0), 눈깜짜기(×)/눈깜짝이(0)
ㄴ. 개굴이(×)/개구리(0), 귀뚤아미(×)/귀뚜라미(0), 얼룩이(×)/얼루기(0) - 맞춤법 규정 23항
(6) 깜짜기다(×)/깜짝이다(0). 번드기다(×)/번득이다(0) -맞춤법 규정 24항
(7) ㄱ. 꾸주니(×)/꾸준히(0), 깨끄시(×)/깨끗이(0)
ㄴ. 더우기(×)/더욱이(0), 오뚜기(×)/오뚝이(0)
ㄷ. 갑작이(×)/갑자기(0), 반듯이(×)/반드시(0), 슬몃이(×)/슬며시(0) - 맞춤법 규정 25항
(8) 숟하다(×)/숱하다(0), 부지럽다(×)/부질없다(0) - 맞춤법 규정 26항
라. 어미 구별
(1) ㄱ. 지난 겨울이 몹시 춥드라.(×)/지난 겨울이 몹시 춥더라.(0)
ㄴ. 깊든 물이 얕아졌다.(×) / 깊던 물이 얕아졌다.(0)
ㄷ. 배던지 사과던지 마음대로 먹어라.(×) / 배든지 사과든지 마음대로 먹어라.(0) - 맞춤법 규정 56 항
(2) ㄱ. 이것은 책이요.(×)/책이오.(0) 이리로 오시요.(×)/오시오.(0)
ㄴ. 이것은 책이오, 저것은 붓이오.(×)/이것은 책이요, 저것은 붓이오.(0) 맞춤법 규정 15항 붙임 2, 3
ㄷ. 이것을 사겠오.(×)/이것을 사겠소.(0)
(3) ㄱ. 괴로와(×)/괴로워(0), 가까와(×)/가까워(0)
ㄴ. 도워(×)/도와(0), 고워(×)/고와(0) - 맞춤법 규정 18항
(4) 먹었읍니다.(×)/먹었습니다.(0) - 표준어 규정 17항
마. 접미사 혼동
(1) 깨끗히(×)/깨끗이(0), 번번히(×)/번번이(0)
(2) 극이(×)/극히(0), 엄격이(×)/엄격히(0)
(3) 솔직이(×)/솔직히(0), 열심이(×)/열심히(0),가만이(×)/가만히(0) - 맞춤법 규정51 항
바. 발음이나 형태가 비슷한 서로 다른 낱말의 혼동
(1) 마추다(×)/맞추다(0), 뻐치다(×)/뻗치다(0) - 맞춤법 규정 55 항
(2) 가름(×)/갈음(0), 거름(×)/걸음(0) - 맞춤법 규정 56 항
사. 받침 글자의 혼동
(1) 돋자리(×)/돗자리(0) - 맞춤법 규정 7항
(2) 부억(×)/부엌(0), 격는데(×)/겪는데(0)
(3) 오늘은 네 생일이렸다.(×)/생일이렷다.(0)
아. 혼동되는 준말
(1) 되었다 - 됬다(×) / 됐다(0) - 맞춤법 규정 35항 붙임 2.
(2) 쓰이어 - 씌어, 쓰여(0) - 맞춤법 규정 38항
(3) 적지 않은 - 적쟎은(×)/적잖은(0)
변변하지 않다 - 변변챦다(×)/변변찮다(0)- 맞춤법 규정 39항,, 표준어 규정 14항,
자. 혼동되는 한자음 구별
(1) ㄱ. 諾 : 낙(본음) - 락(속음) : 승낙(承諾) - 수락(受諾)
ㄴ. 難 : 난(본음) - 란(속음) : 만난(萬難) - 곤란(困難)
ㄷ. 寧 : 녕(본음) - 령(속음) : 안녕(安寧) - 회령(會寧)
ㄹ. 怒 : 노(본음) - 로(속음) : 분노(憤怒) - 대로(大怒)
(2) ㄱ. 論 : 론(본음) - 논(속음) : 토론(討論) - 의논(議論)
ㄴ. 六 : 륙(본음) - 뉴,유(속음) : 오륙십(五六十) - 오뉴월, 유월(六月)
ㄷ. 木 : 목(본음) - 모(속음) : 목재(木材) - 모과(木瓜)
ㄹ. 十 : 십(본음) - 시(속음) : 십일(十日) - 시월(十月)
ㅁ. 八 : 팔(본음) - 파(속음) : 팔일(八日) - 초파일(初八日)
- 맞춤법 규정 52항
'교과밭 > 국 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0) | 2010.05.31 |
---|---|
[스크랩] 아름다운 우리말 (0) | 2010.05.21 |
틀리기 쉬운 우리말 (0) | 2010.04.08 |
책없이 국어공부하는 방법 (0) | 2010.04.04 |
한국속담 1000가지 (0) | 2010.04.04 |